해커집단 룰즈섹, 핫라인 통해 세상 ‘조롱’

해커집단 룰즈섹, 핫라인 통해 세상 ‘조롱’

입력 2011-06-16 00:00
수정 2011-06-16 15:4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해커집단 ‘룰즈 시큐리티(룰즈섹.LulzSec)’가 광범위한 해킹 행위에 이어 사이버 공격 목표물에 대한 제안을 받는다며 직통전화(핫라인)를 운영하는 등 자신들을 추적하고 있는 세상을 조롱하고 있다.

룰즈섹의 회원들은 15일(현지시각) 트위터를 통해 “곳곳에서 우리 번호로 초당 5~20명의 사람들이 전화를 걸어오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이어 “우리는 세계 어디로든 그 번호를 보내 줄 수 있다”고 밝혀 엄청난 통화량을 이용한 ‘전화판 디도스(인터넷 분산서비스 거부) 공격’을 통해 기업들의 전화선을 마비시킬 수 있음을 시사했다.

룰즈섹의 핫라인 번호는 “LULZSEC”로 표현되며, 오하이오 주 지역번호로 돼 있다.

그러나 막상 이 번호로 전화하면 과장된 프랑스 억양을 쓰는 한 남성이 “피에르 뒤부아와 프랑수아 드룩스는 인터넷에서 못된 짓을 하느라 전화를 받을 수 없다”는 녹음된 말이 흘러나온다.

컴퓨터 보안업체 ‘판다’의 랩 기술 책임자인 루이스 코론스는 룰즈섹이 해킹 대상을 찾으려면 손쉽게 온라인 포럼을 할 수 있는데 굳이 핫라인을 만든 것은 “일종의 장난”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룰즈섹은 많은 이들을 화나게 하고 있다”며 “자신들이 절대 잡히지 않을 거라고 생각하는데, 이는 굉장히 큰 실수”라고 말했다.

룰즈섹은 소니와 닌텐도를 비롯한 유명업체를 포함해 미 상원과 미 공영방송 PBS, 미국 연방수사국(FBI)관련 사이트 등을 마비시켜 유명세를 얻으면서, 이 단체회원들은 FBI 등의 수배를 받고 있다.

이에 앞서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지난 6일 룰즈섹의 행태를 보면 목표가 ‘조롱’인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한 바 있다.

룰즈(lulz)라는 용어가 조롱거리가 된 사람을 비웃을 때 사용하는 인터넷 용어인데다, 훔친 개인 정보를 인터넷에 공개하면서 허술한 보안망을 조롱하는 듯한 행태가 이런 분석을 뒷받침한다는 것이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