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소유자 “하루 평균 34회 습관적 확인”

스마트폰 소유자 “하루 평균 34회 습관적 확인”

입력 2011-07-29 00:00
수정 2011-07-29 03:0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일 집중ㆍ타인과 상호작용 방해…”고치려 노력해야”



스마트폰 소지자들은 자신도 모르게 반복적으로 스마트폰을 들여다보는 습관을 갖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모바일ㆍ컴퓨터 전문잡지인 ‘퍼스널 유비쿼터스 컴퓨팅’을 인용해 CNN 인터넷판이 28일 보도했다.

이에 따르면 이 잡지는 ‘습관 때문에 스마트폰 이용이 늘어난다’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통해 스마트폰 이용자 135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반복적으로 이메일과 페이스북 등 애플리케이션들을 확인하는 이른바 “확인습관(checking habit)”을 갖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이 습관은 통상적으로 30초를 넘지 않으며 10분 간격으로 반복해서 일어난다고 이 잡지는 전했다.

평균적으로 하루 34차례 스마트폰을 확인하는 것으로 조사됐지만 실제적인 필요에 의해 확인하는 것이라기 보다는 습관 또는 강박적으로 이뤄지는 것으로 파악됐다고 이 잡지는 지적했다.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대(UC샌프란시스코)의 신경과학자인 로렌 프랭크는 “많은 사림들이 갖고 있는 지극히 일반적인 습관”이라며 “무의식적으로 일어나는 것이어서 그같은 행위를 하는 것 자체를 깨닫지 못할 정도”라고 말했다.

그는 이런 무의식적인 현상이 2단계 과정을 거친다면서 우선 두뇌는 새 이메일을 받았을 때 새로운 것에 대해 느끼는 ‘좋은 느낌’을 갖게 되고, 이 같은 긍정적인 반응이 반복돼 익숙해지면 자신도 모르게 자동적으로 스마트폰을 확인하는 습관을 갖게 된다고 설명했다

UC샌프란시스코의 신경정신과 애덤 게잴리 교수는 “불필요하게 이메일을 확인한 후 하던 일로 되돌아가는 것이 쉽지 않다”며 “(습관으로 인해) 상당한 대가를 지불하는 셈”이라고 말했다.

이런 습관은 또 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에도 장애로 작용할 수 있다고 게잴리는 덧붙였다.

스탠퍼드대 컴퓨터사이언스학과 교수인 클리퍼드 내스는 또 “스마트폰을 지속적으로 확인하는 습관은 생각하는 것을 방해하면서 자신이 무엇인가를 하는 것처럼 느끼게 한다”고 말했다.

CNN은 ▲ 필요 이상 이메일 체크 ▲ 타인으로부터 하루 한번 이상 “휴대전화를 치워라”라는 말을 들을 경우 ▲ 스마트폰 체크를 하지 못했다는 생각에 식은 땀을 흘린 경험이 있다면 이미 ‘확인습관’이 몸에 밴 것으로 볼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 확인습관을 갖고 있다는 것을 인정하고 ▲ 스마트폰을 이용하지 않는 시간대를 설정하며 ▲ 잠자리 등 스마트폰을 이용하지 않는 장소를 설정해 준수하는 것 등이 도움이 될 수 있다고 CNN은 덧붙였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