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슈퍼委 불발에 ‘슈퍼 로비스트’ 있었다

美 슈퍼委 불발에 ‘슈퍼 로비스트’ 있었다

입력 2011-11-23 00:00
수정 2011-11-23 14:3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노퀴스트, 공화의원 대다수 ‘세금인상 반대’ 서명 받아민주당 “노퀴스트는 슈퍼위 13번째 위원” 비난

미국 연방정부의 재정적자 감축 방안을 논의했던 민주·공화당 특별위원회(슈퍼위원회)의 합의 도출 실패에 일등공신(?)으로 로비스트가 거론되고 있다.

이는 워싱턴에서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하는 인물 중 한 명으로, 양당 6명씩으로 구성된 슈퍼위원회의 소위 ‘13번째 위원’으로 일컬어지는 공화당 로비스트 그로버 노퀴스트(55)다.

가디언은 22일(현지시간) “노퀴스트가 경제·정치적인 혼동이라는 자취를 뒤에 남기고 ‘2012년 대선과 총선’이라는 더 큰 다음 전투를 행복하게 내다보면서 오늘 휴가를 떠났다”고 보도했다.

지난 20년간 공화당을 ‘비과세(no taxtation) 정당’으로 바꿔놓았다는 평가를 받는 노퀴스트는 민주당으로부터 슈퍼위원회를 한 손으로 좌절시킨 장본인이라는 비난을 받고 있다.

슈퍼위원회의 합의 실패는 미국과 유럽 시장을 새 혼란상태로 몰았고 의회 위상을 더 깎아내렸다.

그러나 노퀴스트는 아랑곳하지 않고 자동차에 짐과 가족을 싣고는 축복 분위기 속에 워싱턴을 떠나 추수감사절 휴가를 즐기러 플로리다로 향했다고 가디언은 전했다.

그는 내년 대선에서 공화당이 백악관을 접수할 것으로 예견하고 있고, 그렇지 않더라도 이미 ‘플랜B’를 세워놨다. 공화당이 하원을 장악하고 상·하원을 좌지우지하면 오바마의 두 번째 임기는 ‘끝장(dead duck)’이라는 것이다.

노퀴스트는 남부로 가는 도중 가디언과의 전화 인터뷰에서 “공화당이 백악관을 차지하지 못하고 대통령을 마구 몰아붙이지 않더라도 클린턴 행정부의 2기 집권 때처럼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1985년 ‘세금 개혁을 위한 미국인’을 설립해 이끄는 이 로비스트는 세금 인상에 반대한다는 서약을 공화당 하원 의원 242명 중 238명, 상원 의원 47명 중 41명으로부터 받아냈다.

슈퍼위원회 소속 공화당 의원 6명 모두 서명자이고, 공화당 대선 후보도 지지율이 한자릿수도 나오지 않는 존 헌츠먼 전 중국대사를 빼곤 죄다 서명했다.

슈퍼위원회가 깨진 것은 세금 문제 때문으로, 민주당은 인상을 고집했고 공화당은 거부했다. 그래서 2004년 민주당 대통령 후보였던 존 케리는 노퀴스트를 슈퍼위원회 ‘13번째 위원’이라고까지 표현했다.

1조2천억달러의 재정감축 합의가 실패하면 2013년부터 국방비와 비국방비가 각각 6천억달러씩 자동삭감되는 데 대해 노퀴스트는 “오바마는 국방비를 깎겠다고 위협함으로써 세금을 올리려는 ‘꼼수’를 쓰려 했지만, 공화당은 그 덫에 빠지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어릴 때부터 정치 지향적이었던 노퀴스트는 친구들이 아직 만화를 볼 때 도서관에서 연방수사국(FBI) 초대 국장 출신인 존 에드거 후버에 대한 전집을 탐독했으며, 1968년 닉슨 캠페인 사무실에서 일하려고 매사추세츠 웨스톤의 집에서 나와 보스턴으로 가는 기차를 탔다.

연합뉴스

이경숙 서울시의원, 녹천지하차도 소음 문제 해결 서울시와 적극 협력

국민의힘 이경숙 서울시의원(도봉1)은 “녹천지하차도 소음 문제는 단순한 불편을 넘어 주민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사안”이라며 “서울시와 협력해 실효성 있는 대책이 신속히 이행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점검하고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이 의원의 발언은 지난 6일 서울외국어고등학교 회의실에서 열린 ‘녹천지하차도 소음 해소 현장설명회’ 자리에서 나왔다. 이번 설명회는 이경숙 의원이 주최하고 서울시가 주관했으며, 서울시의회 김용호 도시안전건설위원회 위원장을 비롯해, 창동주공18단지와 대우그린 아파트 등 인근 주민 대표들과 서울시 도로시설과, 북부도로사업소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소음 민원 해소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설명회는 총 1611명(안효덕 외 1610명)이 참여한 주민 청원이 서울시에 정식 채택된 데 따른 후속 조치로 열렸다.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의 조사에 따르면, 녹천지하차도 인근의 야간 소음이 법정 기준(58db)을 초과해 최대 63db까지 측정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실질적인 개선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공감대가 형성됐다. 서울시는 그간 방음터널, 방음벽 설치, 차량 속도제한, 저소음 포장 등 여러 방안을 검토한 결과, 유지관리성과 도
thumbnail - 이경숙 서울시의원, 녹천지하차도 소음 문제 해결 서울시와 적극 협력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