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철군 하자마자… 이라크 권력투쟁

美 철군 하자마자… 이라크 권력투쟁

입력 2011-12-21 00:00
수정 2011-12-21 00:4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시아파 정부, 수니파 하셰미 부통령 체포영장 발부

미군이 떠나자마자 이라크 정국이 내홍을 겪고 있다. 이슬람 양대 종파인 수니파와 시아파 간 해묵은 정치 갈등이 다시 불붙는 양상이다.

시아파가 이끄는 이라크 정부가 수니파 정치 지도자를 축출하려 하자 수니파가 반발하면서 상황이 악화일로로 치닫고 있다.

이라크 사법위원회는 19일(현지시간) 수니파인 타레크 알 하셰미 부통령에 대해 암살단 조직에 따른 반테러법 위반 혐의로 체포영장을 발부했다. 앞서 붙잡힌 하셰미 부통령의 보디가드 3명은 이라크 현지 TV에 등장해 “하셰미의 최고위급 보좌관 지시로 시아파 관료를 호송하는 차량행렬에 총격을 가했다. 또 원형 교차로나 바그다드 인근 부촌 거리에 폭탄을 심어뒀다가 목표물이 지나갈 때 터뜨리기도 했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하셰미가 범행 대가로 암살 한 건당 3000달러(약 340만원)를 줬다고 실토했다. 하셰미 부통령 측은 TV에서 증언한 남성 3명이 부통령을 위해 일한 것은 맞지만, 테러행위를 사주한 일은 없다며 부인했다. 하셰미 부통령은 사법위원회가 체포영장 발부와 함께 출국 금지 명령을 내리기에 앞서 쿠르드족 지역을 떠났다.

수니파는 시아파 정부의 ‘하셰미 체포’ 계획을 전해듣고 크게 반발했다. 정치적 목적을 위해 하셰미 부통령에게 누명을 뒤집어씌우려 한다는 입장을 보였다. 수니파 주도의 정당연맹체 ‘이라키야’는 누리 알말리키 총리의 ‘독재’에 저항하기 위해 내각을 거부하겠다고 밝혔다. 이라키야는 전날 의회 등원을 거부하기로 했었다. 수니파인 살레 알무트라크 부총리는 “이라키야의 내각 거부 결정은 정치 과정의 퇴보에 근거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라크 주둔 미군의 철수가 완료되자마자 종파 분쟁이 재점화하자 대규모 유혈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는 불안이 커지고 있다.

제이 카니 백악관 대변인은 우려의 뜻을 표하며 “상황을 주시하고 있다. 양측에 법규와 민주적 정치과정에 맞는 대화를 통해 의견 차이를 평화적으로 해결할 것을 촉구했다.”고 밝혔다.

유대근기자 dynamic@seoul.co.kr

김형재 서울시의원, 서울역사박물관 주관 ‘광복 80주년 기념 특별전’ 개막식 참석

서울시의회 김형재 의원(국민의힘, 강남2)은 지난 4일 서울역사박물관에서 열린 광복 80주년 기념 특별전 ‘국무령 이상룡과 임청각’과 ‘우리들의 광복절’ 공동 개막식에 참석해 축사를 전했다. 이번 특별전은 서울역사박물관과 서울시 문화본부가 공동 주최하며, 광복 80주년을 맞아 광복의 역사적 의미를 재조명하고 시민들과 함께 기억하기 위해 기획됐다. 개막식에는 김형재 의원을 비롯해 박물관 및 문화계 인사, 연구자, 시민 등 100여 명이 참석해 뜻깊은 자리를 함께했다. ‘국무령 이상룡과 임청각’ 전시는 많은 독립지사를 배출한 안동시와의 교류협력 속에서 만주지역 무장독립투쟁을 이끈 상해 임시정부 초대 국무령이셨던 이상룡 선생과 이상룡 선생의 고택 임청각의 역사를 조명할 예정이며, ‘우리들의 광복절’ 전시의 경우 문학, 음악, 영화 등 대중문화 속 광복절을 되새기며 시민의 기억을 담아낼 계획이다. 김 의원은 이날 축사에서 “단재 신채호 선생님께서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고 하셨고, 역사학자 E.H.Carr는 ‘역사는 되풀이된다’고 했다”며 “그런 의미에서 광복 80주년을 맞아 서울시와 서울역사박물관이 함께 마련한 이번 특별전은 매우 시의적절하고 의
thumbnail - 김형재 서울시의원, 서울역사박물관 주관 ‘광복 80주년 기념 특별전’ 개막식 참석

2011-12-21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