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라졌던 크레인 쑥쑥… 체감경기 풀린다”

“사라졌던 크레인 쑥쑥… 체감경기 풀린다”

입력 2012-02-27 00:00
수정 2012-02-27 00:5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실직 1년 만에 취업한 38년 베테랑 기사의 ‘美경기진단’

팀 리스(58)는 하늘에서 미 워싱턴DC의 전경을 내려다보며 일하는 몇 안 되는 사람 중 한 명이다. 앉은 자리에서 슬쩍 고개를 돌리는 것만으로 그는 워싱턴 북쪽 메릴랜드주 실버스프링에서부터 워싱턴 남서쪽 버지니아주 스프링필드까지 눈에 넣을 수 있다. 빌딩의 옥상 정원과 햇빛 머금은 워싱턴 기념탑, 시 청사, 심지어는 대통령 차량행렬까지도 그의 시선을 피하지 못한다. 백악관과 의회 등 주요 국가시설이 있는 워싱턴은 고도 제한으로, 높은 건축물을 지을 수 없기 때문에 58m 높이의 타워크레인 조종실에서는 독수리의 눈처럼 넓은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타워크레인 기사인 리스는 따라서 워싱턴 지역의 경기를 가늠하기에 탁월한 ‘전망’을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가 지난 24일(현지시간) 워싱턴포스트에 이렇게 말했다. “갑자기 사방에 크레인들이 다시 보이기 시작했어요. 워싱턴 서쪽 버지니아주 페어펙스카운티에 있는 쇼핑몰 ‘타이슨스 코너’에서부터 워싱턴 도심의 노스캐퍼틀 스트리트까지 도처에서 크레인들이 움직이는 것을 볼 수 있어요.”

워싱턴 시내 나인 스트리트와 매사추세츠 애비뉴의 교차점에 있는 공사장 타워크레인 조종실에서 아래를 내려다보며 그는 “사람들이 다시 일터로 돌아왔어요. 나도 마찬가지고요.”라고 말했다.

●리스, 2008년 금융위기 여파로 실직

38년 경력의 베테랑 타워크레인 기사인 리스는 2008년 금융위기가 불러온 경기침체의 여파로 일자리를 잃었다. 대형 공사들이 자금난으로 줄줄이 중단됐기 때문이다. 2009년 말쯤엔 지평선에서 크레인들이 거의 다 사라졌다고 그는 회고했다. “마치 누군가 잔디를 밀어낸 것처럼 크레인들이 스카이라인에서 떨어져 나갔어요.”

●“2009년 말쯤엔 크레인 거의 전멸”

그렇게 1년 넘게 실직자로 지내던 그에게 지난해 가을 건설회사인 ‘헨셀 펠프스 건설’에서 전화가 걸려왔다. 5억 5000만 달러(약 6200억원) 규모의 메리엇 마퀴스 호텔 건축 공사에 일자리가 생겼으니 나오라는 것이었다. 시급 33달러짜리, 경기가 좋을 때는 시간외 근무수당까지 합쳐 연간 10만 달러의 수입을 올릴 수 있는 일자리를 다시 얻은 것이다. 리스는 “수입도 괜찮고 전망 좋은 곳에서 일하는 게 좋다. 무엇보다 다시 일할 수 있는 것 자체가 기쁘다.”고 말했다.

때로는 강의실의 경제학자보다 노동자들이 직업 일선에서 체감하는 직관적 경기 진단이 더 정확할 수도 있다. 경기가 회복되고 있는 것 같다는 리스의 ‘경기 진단’은 그래서 주목된다.

●실제 워싱턴 설치허가 건수 두배로

워싱턴 지역 건설회사 중견간부인 조시 밴다이크도 리스의 진단에 동의한다. “지난해 가을쯤부터 공사장이 굉음을 내며 돌아가기 시작했어요. 지난 1~2년간은 이 지역에서 타워크레인을 거의 보지 못했지만 지금은 30~40개가 작업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실제 워싱턴 시 관계자는 2010년 10개였던 타워크레인 설치 허가건수가 지난해 23개로 증가했다고 밝혔다.

워싱턴 김상연특파원 carlos@seoul.co.kr

김영철 서울시의원, ‘서울디지털동행플라자 강동센터’ 현장 점검

서울시의회 주택공간위원회 김영철 의원(국민의힘, 강동5)은 지난 13일 천호3동 공공복합청사 4층에 12일 개관한 서울디지털동행플라자 강동센터를 방문해 운영 현황 및 안전·편의시설 전반을 점검했다. 디지털동행플라자는 서울시가 추진하는 디지털 포용 정책의 핵심 거점으로, 어르신과 디지털 취약계층이 디지털 기술을 일상 속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교육·체험·상담 프로그램을 전면 무료로 제공하는 디지털 전문 플랫폼이다. 특히 이번 강동센터 개관은 김 의원이 동남권역 디지털동행플라자 거점을 강동구에 유치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 온 성과다. 김 의원은 서울시의 동남권역센터 확충 논의 초기부터 강동의 고령층 수요와 지역 여건을 근거로 강동구 유치 필요성을 꾸준히 제기했고, 센터 설치가 확정된 후에는 관련 예산 확보 과정까지 직접 챙기며 사업 추진 기반을 다졌다. 이날 현장에서 김 의원은 프로그램 운영실, AI 체험존, 커뮤니티 공간 등을 직접 살펴보며 프로그램 난이도·기기 배치·이용 동선 등 운영 전반을 세심히 점검했다. 특히 ▲파크골프 ▲ AI바둑 로봇 ▲스마트 운동·게임기기 ▲AI 사진관 촬영 등 주요 체험 프로그램을 직접 체험하며 구민 관점에서의
thumbnail - 김영철 서울시의원, ‘서울디지털동행플라자 강동센터’ 현장 점검

2012-02-27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