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고대화폐서 한글 발견’ 주장에 中학자들 발끈

‘中고대화폐서 한글 발견’ 주장에 中학자들 발끈

입력 2012-07-04 00:00
수정 2012-07-04 13:1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중국 고대 화폐에서 한글로 추정되는 문자가 발견됐다는 한국 학자의 주장을 중국 학자들이 반박하고 나섰다.

4일 법제만보(法制晩報)와 환구시보(環球時報) 등 현지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학자들은 이번 주장에 대해 ‘정통역사의 관점을 위반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중국 사회과학원 역사연구소 쑹전하오(宋鎭豪) 주임은 법제만보와의 인터뷰에서 “논란이 된 화폐는 한눈에 보기에도 춘추시대 연(燕)나라 화폐 ‘연명도(燕明刀)’로, 지금으로부터 약 2천500년 전의 것인데 한국 학자가 말한 3천600년 전과는 시간상으로 서로 맞지 않다”고 밝혔다.

쑹 주임은 이어 “고죽국(孤竹國) 역시 중국 상(商)나라 초기의 요서(遼西) 일대 제후국으로, 한국과는 아무런 관계가 없다”고 덧붙였다.

그는 중국 진(秦)나라 이전의 문자는 통일되지 않아 분별이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화폐에 새긴 글자는 주조된 지역의 지명일 수 있는데 이런 지명은 현존하지 않기 때문에 식별할 수가 없다고 설명했다.

쑹 주임은 “해당 시기에는 알아보기 어려운 문자가 매우 많은데 이를 모두 한글이라고 말하는 것은 옳은 해석이 아니다”면서 “춘추전국시대의 화폐를 3천600년 전 화폐로 보는 관점에는 반박할 가치도 없다”고 말했다.

상하이 푸단(復旦)대 한국연구센터 스웬화(石源華) 주임은 환구시보와의 인터뷰에서 “한국 현행문자는 세종대왕시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몇 백년밖에 되지 않으며 세종대왕 이전에 사용된 문자는 모두 한자이며 독음(讀音)만 달랐다”면서 “(한글의 고대창제설은) 믿을만한 증거를 더 내놓아야할 것”이라고 반박했다.

한국의 주역연구가 이찬구 박사는 최근 신간 「돈」에서 고대 중국의 화폐인 첨수도(尖首刀)에서 한글로 추정되는 두 글자인 ‘돈’과 ‘노’를 찾아냈다고 밝힌 바 있다.

이 박사는 해당 글자가 새겨진 첨수도가 3천600년 전 요서 일대에 세워진 단군 조선의 제후국인 고죽국에서 주조된 것으로 추정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1 /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