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수정란 선별법으로 16명 출산…‘생명선별’ 논란

日 수정란 선별법으로 16명 출산…‘생명선별’ 논란

입력 2012-07-11 00:00
수정 2012-07-11 11:3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일본의 한 산부인과가 체외수정한 수정란의 모든 염색체를 조사하는 불임 치료법으로 신생아 16명의 출산을 도운 것으로 확인돼 ‘생명 선별’ 논란이 일고 있다고 요미우리신문이 11일 보도했다.

고베(神戶)시의 O클리닉은 2011년 2월∼2012년 5월에 97쌍의 부부를 대상으로 비교유전체보합법(CGH) 기술을 이용한 착상 전 유전자 진단을 했다.

이 중 53쌍의 수정란이 순조롭게 자라 자궁 이식에 성공했고, 39명은 임신했다. 16명이 아기를 한 명씩 낳았다. 20명은 임신 중이고, 3명은 유산했다.

수정란을 자궁에 이식한 여성의 임신율은 73.6%로 일반적인 체외 수정 임신율(39세 평균 25%)의 약 3배였다. 여성들의 연령은 28∼45세(평균 39.1세)이고, 과거 수정란 염색체 이상으로 착상하지 못했거나 유산을 되풀이한 이들이다.

착상 전 진단은 체외 수정한 수정란이 배반포(胚盤胞)로 성장했을 때 일부 세포를 꺼내서 염색체 이상을 검사하는 방법이다. 과거에는 염색체 일부를 조사하는데 그쳤지만, 새 기술인 CGH법으로는 모든 염색체를 조사해 거의 확실하게 이상 염색체를 발견할 수 있다.

문제는 염색체에 이상이 있는 수정란은 제거하기 때문에 생명의 선별이나 다운 증후군 등 장애인의 존재 부정으로 연결될 수 있다는 점이다. 일본 산부인과학회는 중증 유전병 환자 등에 한해서 착상 전 진단을 허용하고 있고, 일반 불임 환자에게는 허용하지 못하게 하고 있다.

이에 대해 이 클리닉 원장은 2002년부터 착상 전 진단을 해왔고, 최근에는 CGH법도 이용하고 있다면서 “염색체 이상이 있는 수정란은 착상하기 어렵고, 착상해도 유산으로 끝나는 게 현실이다. 생명을 만들려는 기술일 뿐, 제외하려는 것이 아니다”라고 반박했다고 신문은 전했다.

CGH법의 일종인 배열 비교유전체보합법(a-CGH)을 이용한 출산은 2009년에 처음으로 성공했고, 국내에서도 최근 이 방법으로 30대 초반 산모가 임신한 사례가 보도된 적이 있다.

낙태를 비판하는 ‘진정으로 산부인과를 걱정하는 의사들의 모임(진오비)’ 최안나 대변인은 “검사에서 유전자 이상이라는 결과가 나와도 태어난 뒤 정상적으로 살아가는 아기도 있다”며 “착상 전 검사 과정에서 배아가 손상된다는 연구 결과도 있는 만큼 국내에서도 신중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