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콰도르, 어산지 구하기 배경은 득표전략”

“에콰도르, 어산지 구하기 배경은 득표전략”

입력 2012-08-17 00:00
수정 2012-08-17 16:4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에콰도르 정부가 외교적 마찰을 무릅쓰고 폭로전문 웹사이트인 위키리크스의 설립자 줄리언 어산지의 망명을 허용한 것은 대통령 선거의 득표전략 때문이란 분석이 제기됐다.

CNN은 17일 좌파인 코레아 에콰도르 대통령이 내년 2월 대선에서 표를 얻기 위해 어산지 망명을 허용했다는 전문가의 분석을 보도했다.

에콰도르 정치 분석가 호르헤 레온은 “코레아 대통령의 지지기반은 좌파”라며 “어산지에게 망명을 허용한 것은 코레아 대통령의 좌파 이미지를 돋보이게 할 수 있다”고 말했다.

미국의 비밀 외교문건들을 폭로해 반미(反美)의 상징으로 인식되는 어산지를 도와주는 것은 반미성향이 강한 코레아 대통령에게 정치적인 이득이 된다는 설명이다.

실제로 코레아 대통령은 우고 차베스 베네수엘라 대통령, 에보 모랄레스 볼리비아 대통령, 피델 카스트로 전 쿠바 국가평의회 의장, 마무드 아마디네자드 이란 대통령과도 돈독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또한 코레아 대통령은 현재 어산지가 체류하고 있는 영국과의 관계악화 가능성도 별로 우려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코레아 대통령은 이미 지난 2월 포크랜드를 두고 아르헨티나와 마찰을 빚고 있는 영국에 대한 국제적인 제재를 주장하기도 했다.

어산지도 자신이 진행하는 TV 프로그램에 출연한 코레아 대통령에게 “변화의 지도자”라는 찬사를 보내기도 했다.

러시아의 영어 TV를 통해 방송되는 이 프로그램에서 코레아 대통령은 미국이 에콰도르의 일부 경찰 간부에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국제변호사인 로버트 암스텔담은 “남미 국가들의 관점에서 본다면 어산지에게 망명을 허용하는 것은 영광”이라고 말했다.

일각에선 코레아 대통령과 어산지의 ‘동거’는 부자연스러운 것이라는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정부 각료들에게 민간언론 인터뷰를 금지하는 등 언론을 탄압하는 것으로 유명한 코레아 대통령이 언론의 자유를 주장하는 어산지의 망명을 받아주는 것 자체가 어불성설이라는 것.

한편 어산지가 영국주재 에콰도르대사관에서 엄중한 경찰의 감시를 뚫고 에콰도르로 망명하는데 성공한다면 양국간 관계는 급속히 악화될 전망이다.

인권변호사인 제러드 겐서는 “어산지가 에콰도르에 도착할 경우 영국 정부는 대사관을 철수 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김영철 서울시의원, ‘서울디지털동행플라자 강동센터’ 현장 점검

서울시의회 주택공간위원회 김영철 의원(국민의힘, 강동5)은 지난 13일 천호3동 공공복합청사 4층에 12일 개관한 서울디지털동행플라자 강동센터를 방문해 운영 현황 및 안전·편의시설 전반을 점검했다. 디지털동행플라자는 서울시가 추진하는 디지털 포용 정책의 핵심 거점으로, 어르신과 디지털 취약계층이 디지털 기술을 일상 속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교육·체험·상담 프로그램을 전면 무료로 제공하는 디지털 전문 플랫폼이다. 특히 이번 강동센터 개관은 김 의원이 동남권역 디지털동행플라자 거점을 강동구에 유치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 온 성과다. 김 의원은 서울시의 동남권역센터 확충 논의 초기부터 강동의 고령층 수요와 지역 여건을 근거로 강동구 유치 필요성을 꾸준히 제기했고, 센터 설치가 확정된 후에는 관련 예산 확보 과정까지 직접 챙기며 사업 추진 기반을 다졌다. 이날 현장에서 김 의원은 프로그램 운영실, AI 체험존, 커뮤니티 공간 등을 직접 살펴보며 프로그램 난이도·기기 배치·이용 동선 등 운영 전반을 세심히 점검했다. 특히 ▲파크골프 ▲ AI바둑 로봇 ▲스마트 운동·게임기기 ▲AI 사진관 촬영 등 주요 체험 프로그램을 직접 체험하며 구민 관점에서의
thumbnail - 김영철 서울시의원, ‘서울디지털동행플라자 강동센터’ 현장 점검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