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케리 사단, 국무부 대거 입성 ‘대기’

美 케리 사단, 국무부 대거 입성 ‘대기’

입력 2012-12-22 00:00
수정 2012-12-23 08:2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캠벨 후임에는 시퍼-러셀 경합 전망

미국 차기 국무장관에 존 케리 상원 외교위원장이 공식 지명됨에 따라 내년 초 국무부 요직에 대거 ‘물갈이’가 이뤄질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 2008년 초 이른바 ‘힐러리 클린턴 사단’이 국무부를 장악한 데 이어 이번에는 상원 외교위원회의 보좌진들이 새로운 국무부 진용을 갖출 것이라는 게 외교가와 정치권의 공통된 관측이다.

일단 클린턴 장관이 내년 초 퇴임하면 셰릴 밀스 장관 비서실장을 비롯해 제이크 설리번 정책기획국장, 커트 캠벨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차관보, 앤드루 샤피로 정치군사담당 차관보 등 ‘힐러리 사단’은 대부분 물러날 것으로 예상된다.

아울러 마크 그로스먼 아프가니스탄ㆍ파키스탄 특사와 해럴드 고(한국명 고홍주) 법률고문 등도 이미 사퇴한 상태여서 후임을 기다리고 있다.

케리 지명자는 아직 국무부 요직에 대한 인선 작업을 본격화하지는 않은 것으로 알려졌으나 상원 외교위원장실에 포진해 있는 ‘외교 전문가’를 다수 기용할 가능성이 크다는 게 대체적인 전망이다.

우선 보좌진을 이끄는 빌 댄버스 수석 참모와 앤드루 켈러 수석 고문은 모두 국무부로 자리를 옮길 것이 확실시되고 있다.

올 초 국무부 동아시아 부차관보에서 상원 외교위로 자리를 옮긴 마이클 시퍼는 캠벨 차관보의 후임 자리를 노리고 있으나 백악관은 대니얼 러셀 국가안보회의(NSC) 아시아담당 선임보좌관을 미는 것으로 전해져 경합이 예상된다.

이와 함께 상원 외교위원장실에서 아프리카 및 국제보건 업무를 담당하는 섀넌 스미스 보좌관을 비롯해 파티마 슈마 아프가니스탄 및 파키스탄 담당 보좌관, 페리 카맥 중동 담당 보좌관 등도 국무부의 요직에 기용될 후보군에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앤서니 위어, 그레그 코스너, 제이슨 브루더, 아일런 골든버그, 앤드루 임브리, 멜라니 나카가와, 태머라 클라인 등 외교위 보좌진과 함께 과거 케리의 비서실장을 지낸 프랭크 로웬스타인 등도 내년 초 국무부로 자리를 옮길 가능성이 있다고 미국 외교전문매체 ‘포린폴리시(FP)’ 등이 2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한편 공화당 일각에서는 클린턴 장관이 리비아 벵가지 주재 영사관 피습 사건과 관련한 의회 청문회에 출석하지 않으면 케리 지명자의 인준 절차를 막겠다고 경고하고 있으나 내년 초까지는 인준 청문회와 표결이 이뤄질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 유력한 것으로 전해졌다.

연합뉴스

김용일 서울시의원, 서울투자진흥재단 출범식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 13일 서울글로벌센터빌딩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서울투자진흥재단 출범식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이날 출범식에는 오세훈 서울시장, 최호정 서울시의회 의장, 임춘대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장, 주한 카타르 대사 등 각국 외교관과 홍콩투자청 등 해외 투자 기관 관계자 및 자본가들이 참석해 서울투자진흥재단의 성공적인 출발을 기원했다. 김 의원은 재단의 출범을 위한 준비위원회에서 활동했던 경험을 회상하며 “공식 기관 명칭이 ‘서울투자청’이었으면 좋았겠지만, 오늘 출범하게 되어 감회가 새롭다”라며 소회를 밝혔다. 그는 세계 도시 경쟁력 6위인 서울의 잠재력을 언급하며 “서울투자진흥재단이 세계가 서울로 향하는 길에 든든한 길잡이가 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표했다. 김 의원은 재단이 이사장 이하 구성원들의 풍부한 경험과 인베스트서울의 선험적 경험을 바탕으로 K-금융과 K-뷰티 산업의 글로벌 투자 유치 플랫폼 역할을 충실히 수행해 실질적인 성과물을 만들어낼 것을 강조했다. 한편, 김 의원은 재단 고위 관계자로부터 재단의 오늘이 있기까지 그간의 김 의원 역할에 감사를 표한다는 전언을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서울투자진흥재단 출범식 참석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