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바마 ‘식사 정치’

오바마 ‘식사 정치’

입력 2013-03-09 00:00
수정 2013-03-09 00:0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공화 상원 10여명 초청… 예산협상 등 현안에 강경노선 탈피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상·하원 의원들과 잇따라 밥을 함께 먹으며 부드러운 분위기에서 재정적자 감축과 관련해 이견을 좁히려는 ‘식사 정치’를 가동하고 있다. 지난해까지만 해도 선명성을 과시하기 위해 오바마 대통령과의 ‘접촉’을 꺼리던 공화당 의원들도 선뜻 식사 초청에 응하고 있다.

오바마 대통령은 7일(현지시간) 지난해 대통령 선거에서 공화당 부통령 후보로 나섰던 ‘저격수’ 폴 라이언 하원 예산위원장 등 양당 하원 예산위 지도부와 백악관에서 점심을 함께했다.

라이언 의원은 오찬 참석 전 성명을 통해 “당면 현안에 대한 진지한 논의의 출발점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전날에는 워싱턴의 한 호텔에서 존 매케인 등 공화당 상원의원 10여명과 2시간 넘게 만찬 회동을 했다.

린지 그레이엄 의원은 이튿날 “엊저녁 대화는 생산적이고 실질적이었다”고 평가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다음 주에는 의회 의사당을 직접 찾아 상원 양당 의원들을 만날 예정이다.

지난 연말 ‘재정 절벽’ 협상 때까지만 해도 벼랑 끝 대결을 불사하며 으르렁거렸던 오바마 대통령과 공화당이 이처럼 화기애애한 모습을 연출하는 것은 강경 대치가 정치권 전반의 지지도를 떨어뜨린다는 위기의식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대선이 끝났고 중간선거도 당장 임박하지 않아 정치적으로 강경 지지층 눈치를 볼 필요성이 약해진 측면도 있다.

이 같은 기류는 지난달 말 연방정부 예산 자동 삭감(시퀘스터) 협상에서 예상외로 양측이 별다른 충돌 없이 약속이나 한 듯 시퀘스터를 용인한 데서부터 드러나기 시작했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이달 27일이 협상 시한인 올해 정부 예산안 심의와 오는 5월이 시한인 채무 상한 인상 협상에서도 ‘휴전’이 이어질 것이라는 성급한 전망도 나온다.

공화당 소속 존 베이너 하원의장은 ‘식사 정치’에 대해 “어쨌거나 오바마 대통령 1기 임기 때 보지 못했던 희망적인 신호”라면서 “좋은 결과가 나올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워싱턴 김상연 특파원 carlos@seoul.co.kr

김지향 서울시의원, 아직 부족한 예우 ‘독립유공자’·‘선순위 유족’ 주차 요금 감면제도, 안내 부실·표기 누락

지난 7월 14일부터 시행된 ‘독립유공자 선순위 유족 주차요금 50% 감면’ 제도가 공영주차장에서 안내 부실과 표기 누락으로 제도 취지가 제대로 살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지향 서울시의원(국민의힘, 영등포 제4선거구)이 발의한 ‘서울시 주차장 설치 및 관리 조례’ 개정안은, 기존 국가유공자와 독립유공자 본인에게만 적용되던 공영주차장 요금 감면(80%)을 독립유공자 선순위 유족에게까지 확대(50% 감면)한 내용이다. 지난 7월 14일부터 감면이 적용됐음에도 8월 8일까지 감면 혜택을 받은 유족이 전무해, 주요 공영주차장 감면 안내표시를 확인한 결과, 감면 내용이 게시되지 않았거나 매우 작은 글씨로 표기된 경우가 많아 시민들이 쉽게 인지하기 어려웠다. 지난 8월 12일 기준, 서울시 공영주차장 128개소 중 가장 큰 규모의 주차장 40개소를 확인하여 안내표지판에 ‘독립유공자 선순위 유족 요금 면’ 내용을 게시 조치했으나, 글씨가 작은 게시판은 여전히 개선되지 않았다. 또한 서울시설공단이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점검 대상 40개소 중 ‘독립유공자 본인 주차요금 감면 80%’ 표기가 누락된 곳이 20곳에 달하는 것을 확인했다. 공공기간 부설주
thumbnail - 김지향 서울시의원, 아직 부족한 예우 ‘독립유공자’·‘선순위 유족’ 주차 요금 감면제도, 안내 부실·표기 누락

2013-03-09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