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결국 원하는 것은 핵보유국 인정”<美전문가>

“북한이 결국 원하는 것은 핵보유국 인정”<美전문가>

입력 2014-09-03 00:00
수정 2014-09-03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북한이 억류 미국인 3명에게 미국 언론과의 인터뷰를 허용한 일이 미국과의 대화 재개를 원하기 때문일 수 있지만, 결국 북한이 원하는 일은 자신들을 핵무기 보유국으로 인정해 달라는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마이클 그린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선임연구원은 2일(현지시간) CNN과의 인터뷰에서 “미국을 북한과의 핵무기 통제 협상장으로 끌어내고 결국 북한을 핵보유국으로 인정하도록 하려는게 북한의 대미 협상 책략”이라고 풀이했다.

하지만, 그린 연구원은 북한의 그런 의도는 “우리(미국)가 받아들일 수 없는 것”이라고 단언했다.

빅터 차 CSIS 한국석좌 역시 “북한이 이번(억류 미국인) 문제를 오래된 형태의 핵협상과 연계시키려 할 것임은 누구나 추측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북한은 평양을 방문중이던 미국 CNN방송 취재진이 케네스 배(46)와 매튜 토드 밀러(24), 제프리 에드워드 파울(56) 등 억류 미국인들을 인터뷰하도록 허용했다.

이들 3명은 전날 CNN이 방영한 인터뷰에서 하나같이 자신들의 석방을 위해 미국 정부가 더 적극적으로 나서 달라고 요청했다.

북한이 어떻게든 핵보유국으로 인정받기를 원하고 있으며, 북한의 대화 시도에도 이런 의도가 포함됐을 수 있음은 미국 정부도 인식하는 내용이다.

북핵 6자회담 미국측 수석대표인 글린 데이비스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는 지난 7월 미 의회 청문회에서 “그들(북한)의 의도를 파악하는 데는 별도의 암호풀이책이 필요 없다”며 “궁극적으로는 핵보유국으로 인정받으려는 것”이라고 말했다.

신복자 서울시의원, 안심귀가·안전지원 사업의 실효성 제고와 근본 개선 촉구

서울시의회 보건복지위원회 신복자 의원(국민의힘, 동대문4)은 지난 5일 열린 여성가족실 행정사무감사에서 시민의 안전한 귀갓길과 범죄예방을 위해 추진 중인 주요 사업들의 재정사업 평가 ‘미흡’과 저조한 이용률이 지속되고 있음에도 근본적인 개선 없이 사업이 진행되고 있음을 지적했다. 신 의원은 안심귀가스카우트 사업이 2023년에 이어 2024년 재정사업 평가에서 연속으로 ‘매우 미흡’ 등급을 받았음에도 활성화 노력은 미비하고, 오히려 예산과 인력만 대폭 축소되고 있는 상황에 깊은 우려를 표명했다. 안심귀가스카우트는 여성, 청소년 등 범죄 취약계층에 대한 안전한 귀가 지원서비스로 사업 예산은 2022년 37억원에서 2025년 12억원으로 줄었으며, 2026년 예산안은 그 절반 수준인 6억원으로 책정되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이에 따라 스카우트 대원 인원 역시 2024년 334명에서 점차 줄어 2026년에는 60명으로 더 축소될 계획이다. 신 의원은 “60명의 인원으로 25개 구의 안전 귀가 서비스를 어떻게 소화할 수 있을지 우려스럽다”고 말하며, 단순히 예산을 줄이고 인원을 축소하면서 자치구와 재원 분담을 추진하는 것은 사업의 근본적인 해결책이 아닌 책임
thumbnail - 신복자 서울시의원, 안심귀가·안전지원 사업의 실효성 제고와 근본 개선 촉구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