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커창, 美 뒷마당서 ‘돈 보따리’ 푼다

리커창, 美 뒷마당서 ‘돈 보따리’ 푼다

이창구 기자
이창구 기자
입력 2015-05-20 00:40
수정 2015-05-20 01:0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브라질 도착… 남미 4개국 순방길

미국이 ‘아시아 회귀’ 전략에 골몰하는 사이 중국은 미국 ‘뒷마당’을 노리고 있다.


리커창(李克强) 중국 총리가 브라질에 도착해 남미 4개국 순방을 시작했다고 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가 19일 보도했다. 리 총리는 26일까지 브라질, 콜롬비아, 페루, 칠레를 방문한다. 이들 4개국은 중국과 라틴아메리카 교역의 57%를 차지하고 있다. 인민일보는 이번 순방의 핵심으로 파나마운하를 대신할 안데스 횡단철도 건설을 꼽았다. 리 총리가 브라질에서 지우마 호세프 대통령을 만나 530억 달러(약 58조원) 규모의 투자협정을 체결하는데, 이 가운데 안데스 횡단철도 타당성 조사도 포함된다는 것이다.

중국이 기획하는 안데스 횡단철도는 브라질의 대서양 연안과 페루의 태평양 연안을 잇는다. 철도가 완성되면 대두와 석탄, 철광석 등 브라질과 아르헨티나에서 생산되는 원자재 수입을 늘릴 수 있다. 현재 중국의 화물선은 브라질의 항구에서 화물을 적재한 후 파나마운하를 통해 태평양으로 나와 중국으로 향하고 있다. 이 철도가 완공되면 미국의 영향권에 놓여 있는 파나마운하를 거치지 않고도 중국으로 운송할 수 있다.

지난해 말 현재 남미 지역에 대한 중국의 투자는 990억 달러에 달한다. 남미에 대한 중국의 대출도 220억 달러로, 미주개발은행(IADB)과 세계은행(WB)을 합친 것을 웃돈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남미에서 중국의 영향력 상승은 먼로독트린에 대한 도전으로 비치고 있다”고 전했다. 먼로독트린은 미국의 제5대 대통령 제임스 먼로가 1823년 연두교서에 밝힌 외교 방침으로, 유럽 등 외부 세력의 미주 대륙 간섭을 거부한다는 내용이 핵심이다. 중남미 국가에 대한 미국의 배타적인 영향력 행사를 정당화하는 근거로 활용됐다.

베이징 이창구 특파원 window2@seoul.co.kr
2015-05-20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