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정위기의 여파로 수년간 긴축 정책을 펴온 남유럽 국가들의 경제가 휘청거리고 있다.
2008년 금융위기 이후로 경제위기를 겪은 다른 유럽 국가들이 서서히 침체에서 벗어나는 동안 2010년 재정위기를 맞은 남유럽 국가들은 계속 부진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27일 국제 금융시장과 블룸버그 등에 따르면 스페인의 지난해 실업률은 24.46%로 집계됐다.
스페인 실업률은 2008년 세계 금융위기 이후 계속 상승했다. 2009년 17.86%이었던 실업률은 2011년에 21.42%에 이르렀다. 이어
2012년과 2013년에 각각 24.82%, 26.11%로 상승세를 멈추지 않았다.
실업률이 상승하는 동안 스페인의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은 2011∼2013년 계속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그리스 경제도 스페인과 비슷한 흐름을 보였다.
지난해 그리스의 실업률은 26.56%로 2013년(27.52%)보다 소폭 떨어졌지만 2008년 7.80%, 2009년 9.63%, 2010년 12.72%, 2011년 17.88%, 2012년 24.56% 등으로 계속 올라갔다.
그리스의 경제성장률 역시 지난해(0.75%)를 빼고 2008년(-0.40%)부터 5년 연속 마이너스 성장률을 보였다. 2011년(-8.90%)과 2012년(-6.55%)에는 6% 이상의 역성장을 보였다.
지난해 포르투갈의 실업률(13.90%)도 10%를 넘었다.
포르투갈 실업률은 2008년 7.60%, 2009년 9.48%, 2010년 10.80%, 2011년 12.70%, 2012년 15.55%, 2013년 16.18% 등으로 상승했다.
반면, 서유럽 국가인 영국과 독일 경제는 2008년 금융위기 이후 회복되는 움직임을 보였다.
영국의 경제성장률은 금융위기 여파로 2009년(-4.30%) 마이너스를 나타냈지만 이후 꾸준히 플러스 성장을 했다.
이 나라의 실업률도 2008년 5.60%를 기록한 뒤 2009년(7.51%), 2010년(7.88%), 2011년(8.06%)까지 상승세를 보였지만 2012년(8.04%)부터 하락세로 돌아서 지난해에는 6.33%까지 떨어졌다.
독일 경제지표도 영국과 유사한 흐름을 나타냈다.
독일은 금융위기 다음 해인 2009년(-5.60%)에 마이너스 성장을 했다. 2010년에는 부진에서 벗어나 GDP 증가율이 4.10%에 이르렀고 2011년(3.60%), 2012년(0.40%), 2013년(0.10%), 2014년(1.60%) 등 이후 꾸준히 성과를 냈다.
독일의 실업률도 2009년(8.13%)을 고점으로 하락해 지난해 6.69%로 떨어졌다.
독일 등 서유럽 국가와는 달리 경제 회복이 요원한 남유럽 국가들에서는 최근 좌파 바람이 불고 있다.
그리스, 스페인, 포르투갈 등 남부 유럽 국가들에서 좌파 정당이 힘을 얻는 것은 이들 국가가 2010년 재정위기 이후 시행한 긴축 정책에 대해 국민의 불만이 높아지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김위대 국제금융센터 유럽팀장은 “실업률이 1% 포인트 올라가면 극우나 극좌 정당의 지지율이 1%포인트 상승한다는 연구결과가 있다”며 “남유럽 국가에서 좌파 정당들이 강해지는 것은 긴축정책과 높은 실업률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2008년 금융위기 이후로 경제위기를 겪은 다른 유럽 국가들이 서서히 침체에서 벗어나는 동안 2010년 재정위기를 맞은 남유럽 국가들은 계속 부진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27일 국제 금융시장과 블룸버그 등에 따르면 스페인의 지난해 실업률은 24.46%로 집계됐다.
스페인 실업률은 2008년 세계 금융위기 이후 계속 상승했다. 2009년 17.86%이었던 실업률은 2011년에 21.42%에 이르렀다. 이어
2012년과 2013년에 각각 24.82%, 26.11%로 상승세를 멈추지 않았다.
실업률이 상승하는 동안 스페인의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은 2011∼2013년 계속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그리스 경제도 스페인과 비슷한 흐름을 보였다.
지난해 그리스의 실업률은 26.56%로 2013년(27.52%)보다 소폭 떨어졌지만 2008년 7.80%, 2009년 9.63%, 2010년 12.72%, 2011년 17.88%, 2012년 24.56% 등으로 계속 올라갔다.
그리스의 경제성장률 역시 지난해(0.75%)를 빼고 2008년(-0.40%)부터 5년 연속 마이너스 성장률을 보였다. 2011년(-8.90%)과 2012년(-6.55%)에는 6% 이상의 역성장을 보였다.
지난해 포르투갈의 실업률(13.90%)도 10%를 넘었다.
포르투갈 실업률은 2008년 7.60%, 2009년 9.48%, 2010년 10.80%, 2011년 12.70%, 2012년 15.55%, 2013년 16.18% 등으로 상승했다.
반면, 서유럽 국가인 영국과 독일 경제는 2008년 금융위기 이후 회복되는 움직임을 보였다.
영국의 경제성장률은 금융위기 여파로 2009년(-4.30%) 마이너스를 나타냈지만 이후 꾸준히 플러스 성장을 했다.
이 나라의 실업률도 2008년 5.60%를 기록한 뒤 2009년(7.51%), 2010년(7.88%), 2011년(8.06%)까지 상승세를 보였지만 2012년(8.04%)부터 하락세로 돌아서 지난해에는 6.33%까지 떨어졌다.
독일 경제지표도 영국과 유사한 흐름을 나타냈다.
독일은 금융위기 다음 해인 2009년(-5.60%)에 마이너스 성장을 했다. 2010년에는 부진에서 벗어나 GDP 증가율이 4.10%에 이르렀고 2011년(3.60%), 2012년(0.40%), 2013년(0.10%), 2014년(1.60%) 등 이후 꾸준히 성과를 냈다.
독일의 실업률도 2009년(8.13%)을 고점으로 하락해 지난해 6.69%로 떨어졌다.
독일 등 서유럽 국가와는 달리 경제 회복이 요원한 남유럽 국가들에서는 최근 좌파 바람이 불고 있다.
그리스, 스페인, 포르투갈 등 남부 유럽 국가들에서 좌파 정당이 힘을 얻는 것은 이들 국가가 2010년 재정위기 이후 시행한 긴축 정책에 대해 국민의 불만이 높아지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김위대 국제금융센터 유럽팀장은 “실업률이 1% 포인트 올라가면 극우나 극좌 정당의 지지율이 1%포인트 상승한다는 연구결과가 있다”며 “남유럽 국가에서 좌파 정당들이 강해지는 것은 긴축정책과 높은 실업률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