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일모직과 삼성물산의 합병을 통한 가치 창출이 가능할지 의문이라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26일(영국시간) 칼럼을 통해 진단했다.
양사의 합병이 삼성그룹 지배구조의 단순화와 투명성에 기여한 것은 맞지만 비용절감이나 매출 증대 등의 합병 시너지가 구체적으로 어떻게 나타날지 예측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삼성그룹은 먼저 두 기업의 건설부문 합병을 통해 비용 절감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건설은 삼성물산 매출의 50%, 제일모직에서는 25%의 비중을 차지한다. 삼성물산 건설부문의 영업이익률은 1.5%로 제일모직의 4분의 1 수준에 그치고 있어 합병을 통해 개선이 기대되는 대목이다.
다만 숫자로 제시된 구체적인 계획이 나오지 않았다는 것이 문제라고 FT는 말했다.
양사는 오는 2020년 매출 목표로 지금보다 70% 많은 60조원을 제시했지만 매출 목표를 달성할 세부적인 내용은 거의 없는 상황이다.
50개국에 걸쳐 있는 삼성물산의 글로벌 네트워크가 제일모직의 패션과 식음료 사업의 해외 확장에 도움을 줄 것이라는 설명이 전부이기 때문이다.
FT는 이번 합병으로 투명성이 제고됐지만, 결국 주가 상승 등에 따른 더 큰 이익은 그룹에 대한 지배력을 강화한 오너 일가에 돌아갔다고 꼬집었다.
연합뉴스
양사의 합병이 삼성그룹 지배구조의 단순화와 투명성에 기여한 것은 맞지만 비용절감이나 매출 증대 등의 합병 시너지가 구체적으로 어떻게 나타날지 예측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삼성그룹은 먼저 두 기업의 건설부문 합병을 통해 비용 절감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건설은 삼성물산 매출의 50%, 제일모직에서는 25%의 비중을 차지한다. 삼성물산 건설부문의 영업이익률은 1.5%로 제일모직의 4분의 1 수준에 그치고 있어 합병을 통해 개선이 기대되는 대목이다.
다만 숫자로 제시된 구체적인 계획이 나오지 않았다는 것이 문제라고 FT는 말했다.
양사는 오는 2020년 매출 목표로 지금보다 70% 많은 60조원을 제시했지만 매출 목표를 달성할 세부적인 내용은 거의 없는 상황이다.
50개국에 걸쳐 있는 삼성물산의 글로벌 네트워크가 제일모직의 패션과 식음료 사업의 해외 확장에 도움을 줄 것이라는 설명이 전부이기 때문이다.
FT는 이번 합병으로 투명성이 제고됐지만, 결국 주가 상승 등에 따른 더 큰 이익은 그룹에 대한 지배력을 강화한 오너 일가에 돌아갔다고 꼬집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