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 안보법안 강행에 日연립여당 지지기반서 반발 기류

아베 안보법안 강행에 日연립여당 지지기반서 반발 기류

입력 2015-07-28 10:20
수정 2015-07-28 11:0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창가학회 회원들 비판 움직임…연립여당 선거 때 핵심 조직

일본 아베 신조(安倍晋三) 정권의 ‘밀어붙이기’ 안보 입법에 연립 여당 공명당 지지세력이 반발하고 있다.

아베 정권이 집단자위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헌법 해석을 변경하고 수적 우위를 앞세워 중의원에서 안보법안 표결을 강행하자 공명당 지지 세력의 모체인 창가학회 (創價學會) 회원 사이에 우려가 커진 것이다.

종교단체인 창가학회는 앞서 집단자위권에 관해 일본이 ‘보유하고 있으나 행사할 수 없다’며 아베 정권의 헌법해석 변경 추진에 부정적으로 반응했다.

이 때문에 공명당이 아베 정권의 브레이크 역할을 할 것이라는 기대를 모았으나 작년 7월 1일 헌법해석 변경에 동조해 거수기로 전락했다는 비판도 받았다.

이후 안보법안 심의 과정에서 전쟁 입법이라는 우려가 커지면서 창가학회 회원 사이에 불만이 터져 나오고 있다.

마이니치(每日)신문은 창가학회 일반인 회원인 지역 정치인 회원의 반발 사례를 28일 소개했다.

창가학회 회원이며 아이치(愛知)현 다케토요초(武豊町)의회(기초의회)의 모토무라 쓰요시(本村强) 의원은 안보 법제 정비 과정을 지켜보다 신념을 지키고자 공명당을 탈당했다.

그는 “실망했다. 평화의 간판을 걸어놓고 왜…”라며 안보 법안에 관한 공명당의 대응을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을 보였다.

창가학회 회원인 하루무라 노리타쓰(春村德龍·53)는 “안보법안이 평화를 요구해 온 학회의 가르침에 어울리지 않는다. ‘자민당 제어 역할을 한다’고 공명당에 투표하도록 촉구했는데 배신당했다”며 지난 19일 오사카(大阪)에서 열리는 안보법안 반대 시위에 가족과 참가했다.

25일 일본 국회의사당 주변에서 열린 시위에서는 국제창가학회를 의미하는 SGI가 적힌 문구를 든 참가자들이 상당수 있었다.

민영방송 TV아사히는 창가학회에서 선거 때 활발한 활동을 벌이는 부녀모임을 중심으로 안보법안에 대한 비판이 확산하고 있다고 최근 전했다.

이와 관련해 야마구치 나쓰오(山口那津男) 공명당 대표는 안보법안에 대한 설명이나 관련 정보가 제대로 전해지지 않은 것이 하나의 원인이라는 견해를 밝혔다.

창가학회는 주요 선거 때 공명당의 선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단체다.

내년 7월에 참의원 선거가 예정돼 있어 창가학회를 중심으로 터져 나오는 비판을 마냥 무시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이며 일선 회원과 학회 지도부의 움직임이 주목된다.

문성호 서울시의원 “연희동 견고한 폭우 방어 태세, 연희1구역재개발조합이 주민 안전 보장 확실한 기여”

문성호 서울시의원(국민의힘, 서대문2)이 2년 전 폭우로 축대가 붕괴하는 사고가 발생했던 연희동 주민들이 이번 폭우로 지반 붕괴 등을 우려하는 민원을 전함에 있어, 직접 순찰한 결과 현재 문제는 전혀 발생하지 않았으며 특히 경사가 가파른 지역인 홍제천로2길 일대의 안전을 위해 연희동 연희1구역재개발조합에서 방벽 공사 및 기반 시설 보강으로 견고한 대비가 구축되었음을 전했다. 문 의원은 “2년 전 여름, 폭우가 쏟아지는 중에 연희동에서는 축대가 무너지는 심각한 사고가 발생한 바 있다. 다행히 매몰되거나 사고를 입은 주민은 없었으나, 인근 주민들이 대피하는 등 삶에 충격을 가했다. 그러한 사고가 있었기 때문인지 폭우경보가 있는 날이면 연희동 해당 일대 주민들의 우려가 늘 들려온다”고 설명했다. 이어서 문 의원은 “특히 연희동 홍제천로2길 일대는 경사가 가파른 탓에 폭우가 쏟아지는 날에는 물줄기 역시 빠르고 강한 힘으로 쏟아져 내려오기에 매우 위험함은 모두가 익히 아는 사실이다. 하지만 본 의원이 직접 야간에 현장을 순찰한 결과, 다행히도 미리 구축된 방벽과 벙커형 주차장의 견고하고 또 체계화된 물 빠짐 구간 구축으로 아무런 피해가 발생하지 않았다”며 설명을
thumbnail - 문성호 서울시의원 “연희동 견고한 폭우 방어 태세, 연희1구역재개발조합이 주민 안전 보장 확실한 기여”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