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150만명 사망… 전염병 사망 1위
결핵이 에이즈를 제치고 전염병으로 인한 사망 원인 1위로 꼽혔다. 세계보건기구(WHO)와 의학 전문가들은 거의 완치가 가능한 결핵으로 인한 사망자가 에이즈 사망자보다 많은 데 경각심을 갖고 결핵 퇴치에 다시 한번 힘을 쏟아야 한다고 강조했다.WHO는 28일(현지시간) 발표한 ‘세계 결핵 보고서 2015’에서 지난해 전 세계 결핵 사망자는 150만명이라고 밝혔다. 전염병 사망 원인 2위인 에이즈에 비해 30만명이 더 많은 수치다. 지난해 새로 결핵에 감염된 환자는 960만명으로 2013년 900만명에 비해 60만명 증가했다. WHO는 지난해 결핵이 실제로 널리 퍼졌다기보다는 결핵 관련 국가별 통계와 연구가 개선돼 결핵 감염자가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장기적으로 결핵 감염자와 사망자는 감소했다. 2000년부터 지난해까지 결핵 진단 및 치료 기술의 발전으로 4300만명을 살릴 수 있었다. 결핵 감염자도 2000년부터 매년 평균 1.5% 줄어 지난해까지 총 18% 감소하는 성과를 보였다.
그러나 결핵 퇴치 노력이 아직 부족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WHO의 세계 결핵 프로그램 담당자인 마리오 라빌리오네 박사는 “결핵 완치가 가능한 시대에 여전히 하루 평균 4400명이 결핵으로 사망한다는 것은 용납할 수 없다”고 말했다. WHO는 결핵이 에이즈에 비해 진단과 치료가 훨씬 수월한데도 사망자 규모가 비슷한 이유로 실제 결핵 환자 수와 각 국가의 보건 당국이 발견한 결핵 환자 수의 차이가 너무 크고, 에이즈에 비해 결핵에 지원되는 예산이 적은 것을 꼽았다. 특히 결핵 치료 약품에 내성을 갖고 있어 일반 결핵보다 치명적인 다제내성 결핵(MDR-TB)의 경우 보건 당국에 보고된 감염자는 12만 3000명으로 실제 감염자(48만명)의 4분의1 수준이다.
실제 환자와 보건 당국이 발견한 환자의 수가 차이를 보이는 것은 결핵 예산이 부족하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전 세계 결핵 환자를 완치하는 데 80억 달러(약 9조원)의 예산이 필요하지만 현재 지원된 예산은 66억 달러에 불과하다. 또 새로운 결핵 진단법, 치료약, 백신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으로 13억 달러의 예산이 필요하다. 에이즈에 지원된 예산이 202억 달러임을 고려했을 때 결핵에 대한 국제적 지원과 관심이 낮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유엔 결핵특별대사인 에릭 구스비는 CNN 기고문에서 “결핵을 퇴치하기 위해서는 정치적 지원과 모멘텀이 필요하다”며 “하루 평균 결핵 사망자가 4400명이라는 충격적인 통계에 둔감해져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박기석 기자 kisukpark@seoul.co.kr
2015-10-30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