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민 거센 반발 두려워하는 미국 정착 시리아 난민

미국민 거센 반발 두려워하는 미국 정착 시리아 난민

입력 2015-11-19 08:46
수정 2015-11-19 08:4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2001년 미국을 충격으로 몰아넣은 9·11 테러 직후 많은 미국 거주 무슬림이 미국민의 공격을 받았듯이 지난주 터진 프랑스 파리 테러 참사 이후 미국에 정착한 시리아 출신 난민 또는 이민자가 당시 무슬림과 비슷한 처지에 몰렸다.

미국 일간지 USA 투데이는 18일(현지시간) 플로리다 주에 정착한 시리아 난민 아말 살레흐를 통해 이들이 느끼는 공포감을 소개했다.

올해까지 4년째 이어진 내전으로 폐허가 된 시리아 알레포를 떠난 살레흐는 21개월간의 힘든 여정 끝에 플로리다 주 포트로더데일에 정착해 심장병으로 몸이 성치 않은 남편, 10대 네 자녀와 한집에서 살고 있다.

세 명의 남자 형제는 독일에, 두 명의 여자 형제는 스웨덴에, 또 다른 여자 형제들은 레바논과 터키에 각각 정착하는 등 살레흐의 가족은 내전 탓에 전 세계로 흩어졌다.

그러나 어렵사리 미국에 와 자유와 안전을 되찾았다는 기쁨도 잠시, 파리 테러 이후 미국에서 강하게 부는 시리아 난민 수용 배척 움직임에 살레흐와 같은 난민들은 또 다른 두려움을 느끼고 있다.

버락 오바마 대통령의 시리아 난민 수용 지속 방침에 맞서 공화당이 장악한 연방 의회와 각 주 정부가 절대 그럴 수 없다고 정면으로 충돌한 탓이다.

이날 발표된 블룸버그 통신의 여론 조사에서도 미국민의 53%가 시리아 난민 수용을 멈춰야 한다고 답하는 등 여론도 부정적인 쪽으로 돌아섰다.

살레흐는 “미국민이 우리를 두려워하듯 우리도 미국 사람이 무섭다”면서 “우리 시리아 난민들은 평화로운 사람들로 미국에 입국할 때 철저한 조사를 거쳤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생존을 이어갈 만한 자격이 있는 사람들”이라고 울부짖었다.

폴 라이언(공화·위스콘신) 하원의장, 각 주 정부를 이끄는 공화당 정치인은 시리아 난민의 입국 심사 과정을 완벽하게 강화할 때까지 미국 정부가 난민 수용을 중단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미국 하원의 감독·정부개혁위원장인 제이슨 차페츠(공화·유타) 의원은 “난민 심사가 30분도 채 안 걸리는 것 같다”며 “이것으로는 부족하다”고 라이언 의장을 거들었다.

이를 두고 살레흐는 미국 정치인들이 난민 심사 과정을 좀 더 살피고 자신과 같은 시리아 난민이 미국에 오기까지 얼마나 험난한 과정을 거쳤는지를 잘 이해했으면 좋겠다며 우회적으로 꼬집었다.

살레흐에 따르면, 미국 정부의 난민 심사는 여러 단계에서 꽤 집요하고 구체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살레흐 가족은 국경을 넘은 터키에서 먼저 심사를 받았다. 이후에도 유엔 난민고등판무관사무소에서 1인당 몇 시간 이상씩 세 차례에 걸쳐 또 다른 인터뷰도 했다.

그때마다 난민 심사관들은 가족사 등을 꼬치꼬치 캐물었고, 특히 테러단체와의 연계, 지원 여부 등을 꼼꼼히 따졌다. 이른바 ‘크로스 체크’로 난민의 배경을 샅샅이 훑은 셈이다.

살레흐는 “심지어 테러리스트에게 음식 한 접시라도 대접했느냐는 질문도 받았다”고 했다.

그는 가족이 함께 또는 따로따로 숱한 인터뷰를 거쳤다면서 “심사관들은 수없이 세세한 사안을 묻고 또 물었고, 이 심사를 통과하지 못한다면 미국에 들어오기는 불가능하다”며 자신과 같은 사람들은 테러와 무관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플로리다 주에서 30년 이상 살았다던 시리아 출신 두레드 다그히스타니도 주변 시리아 난민에게서 살레흐와 똑같은 얘기를 접했다면서 최대 2년에 걸친 정밀 심사를 받고 들어온 이들을 미국민이 파리 테러 후 배척하고 있다고 안타까움을 나타냈다.

그는 일본인과 무슬림을 예로 들어 이번에는 시리아 사람들이 미국민의 표적이 될까 걱정스럽다고 했다.

미국이 하와이 주 진주만을 침공한 일본군에 대한 보복으로 미국에 정착한 일본인들을 제2차 세계대전 동안 수용소에 가둬두고, 9·11 테러 후에는 테러단체 알카에다와 무관한 미국 내 무슬림을 적으로 몰았듯 시리아 사람들에게 적개심을 표출할 것이라는 우려다.

살레흐는 미국에서 새 삶을 살 기회를 준 신에게 감사의 기도를 드리고 가족이 합법적인 영주권 취득과 함께 궁극적으로 미국 국민이 되는 것을 고대하고 있지만, 확산하는 미국민의 반감과 이웃 주민에게 시리아 난민이라는 정체를 알리고 싶지 않은 생각 때문에 요즘 아예 집 밖에 나가질 않는다고 토로했다.

홍국표 서울시의원, 제11회 평화통일 서예대전 시상식 참석

서울시의회 홍국표 의원(국민의힘, 도봉2)이 지난 6일 도봉구청 2층 선인봉홀에서 열린 ‘제11회 평화통일 서예대전 시상식’에 참석해 수상자들에게 상장을 수여했다. 이번 서예대전은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서울 도봉구 협의회가 주최한 행사로, 평화와 통일이라는 주제를 중심으로 다양한 세대의 작가들이 참여해 작품 경쟁을 펼쳤다. 현대적인 캘리그래피부터 전통 동양화 작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장르와 스타일의 작품들이 출품되어 평화통일에 대한 염원을 예술로 승화시켰다. 홍 의원은 “올해는 광복 80주년을 맞는 뜻깊은 해”라며 “서예대전에 출품된 작품 하나하나를 보면서 붓끝 획 하나하나에 담긴 정성과 염원이 남북통일의 근간이 되어 널리 펼쳐지길 기원한다”고 소감을 밝혔다. 또한 “이번 대전을 통해 어린 학생부터 연로하신 어르신까지 다양한 세대가 함께 평화통일에 대한 의지를 다지는 모습을 보며 큰 감동을 받았다”면서 “분단의 아픔을 딛고 평화로운 통일 한국을 만들어가는 것은 우리 모두의 숭고한 사명으로, 앞으로도 이런 뜻깊은 행사가 지속되어 우리 지역사회에 평화통일 의식이 더욱 확산되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thumbnail - 홍국표 서울시의원, 제11회 평화통일 서예대전 시상식 참석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