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후보루’ 항생제 내성 유전자 영국에서도 발견

‘최후보루’ 항생제 내성 유전자 영국에서도 발견

입력 2015-12-22 20:22
수정 2015-12-22 20:2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세마리 돼지에서 MCR-1 유전자 발견…슈퍼박테리아 출현 우려

‘최후 보루’ 항생제로 알려진 콜리스틴에도 내성을 보이는 박테리아 유전자가 중국에 이어 영국에서도 발견됐다.

보건부 산하 잉글랜드보건청(PHE)은 2012~2015년 수집한 박테리아 샘플 2만4천개 이상을 스캔했고, 이중 대장균과 살로넬라균을 포함한 15개 박테리아 샘플에서 MCR-1 유전자를 발견했다고 영국 BBC 등이 2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환경·식품·농업부 산하 동물수의학연구소(APHA)는 콜리스틴 저항 박테리아를 세 마리 돼지들에서 발견했다.

이 유전자는 종류가 다른 박테리아들 사이에서 쉽게 복사되고 이전될 수 있기 때문에 의사들이 치료할 수 없는 질병을 창출하는 슈퍼박테리아 출현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다만 PHE 앨런 존슨 교수는 “현재로선 MCR-1 유전자가 인간 보건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낮다는 게 우리 판단이지만 좀 더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계속 연구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MCR-1 유전자를 가진 것으로 확인된 모든 박테리아는 카르바페넴으로 불리는 다른 항생제들에 반응을 보인다”고 덧붙였다.

앞서 지난달 중국에서도 이 유전자가 발견됐다.

광저우 화남(華南)농업대학 류지앤화 박사는 중국 남부지역을 대상으로 한 돼지와 닭 정기검사에서 대장균과 폐렴간균에서 MCR-1 유전자를 발견했다.

뒤이어 중국 4개 성의 가축시장에서 지난 4년 동안 채취된 박테리아 샘플과 광둥성, 저장성의 2개 병원 입원환자들에게서 채취한 박테리아 샘플을 분석한 결과 같은 유전자가 발견됐다.

류 박사는 가축에 콜리스틴이 지나치게 사용되고 있어서 문제의 내성 유발 유전자를 탄생시킨 것 같다면서 지금은 이 유전자가 가축에서 사람에게까지 퍼진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영국 환경·식품·농업부는 “콜리스틴은 영국 가축에 사용되는 항생제의 0.2%를 차지한다”고 밝혔다.

보건시민단체인 ‘항생제보호연합’은 지난해 영국에서 콜리스틴 항생제 837kg이 사용됐다면서 “정부, 유럽연합(EU), 규제 당국 등이 콜리스틴 항생제 내성 유전자에 대해 시급히 대처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