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일간 텔레그래프는 26일(현지시간) 돈을 벌려면 덴마크의 조립식 블록 완구 회사 레고(Lego) 장난감을 사 두는 것이 금이나 주식에 투자하는 것보다 낫다고 보도했다. 지난 15년 동안 출시된 한정판 레고 세트의 중고 가격 상승률과 금·주식의 투자 수익률을 비교해 이런 결론을 내렸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8년간 금 9.6%·주식 4.1% 수익
2000년 2월에 은행에 저금했다면 2.8%, 영국 런던 FTSE100 지수에 투자했다면 4.1%, 금을 샀다면 9.6%씩 연평균 수익을 거뒀겠지만 절판된 레고를 사 완벽한 상태로 보관했다면 연평균 12.0%의 수익을 얻었다는 계산이다.
●‘카페 코너’ 같은 기간 2229% 올라
예컨대 레고 중고 사이트인 브릭피커닷컴에서 3119.9달러(약 365만원)에 팔리는 ‘카페 코너’의 2007년 발매 당시 시판가는 133.95달러였다. 8년 동안 수익률이 2229%에 달하는 셈이다. 같은 해 출시된 ‘마켓 스트리트’는 89.3달러에서 1038.97달러(약 121만원)로 올라 1064%의 수익률을 기록했다. ‘홀리데이 트레인’은 2006년 74.41달러에 출시됐지만 현재 854.4달러(약 100만원)로 1048% 높은 가격에 거래된다.
특히 ‘스타워즈 시리즈’는 중고 사이트에서 가장 높은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다. 2007년 작인 ‘밀레니엄 팰컨’은 4036.81달러(약 472만원)에, 2005년 작인 ‘데스스타Ⅱ’는 2268.47달러(약 265만원)에 값이 매겨졌다. 2위인 ‘카페 코너’, 세 번째로 높은 가격인 2750.75달러(약 321만원)에 거래되는 2008년 작 ‘타지마할’을 제외하면 5위까지 중 3개가 스타워즈 시리즈다.
홍희경 기자 saloo@seoul.co.kr
2015-12-28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15년 만에 단행된 카카오톡 대규모 개편 이후 사용자들의 불만이 폭증하고 있다. 애플리케이션을 내려받을 수 있는 구글 플레이스토어와 애플 앱스토어에는 “역대 최악의 업데이트”라는 혹평과 함께 별점 1점 리뷰가 줄줄이 올라왔고, 일부 이용자들은 업데이트를 강제로 되돌려야 한다며 항의하기도 했다. 여론이 악화되자 카카오는 개선안 카드를 꺼냈다. 이번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