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 린창쭤 “아시아 최초 록가수 출신 의원” 환호

대만 린창쭤 “아시아 최초 록가수 출신 의원” 환호

입력 2016-01-17 20:14
수정 2016-01-17 20:1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유명 메탈밴드 보컬…WP “말할 수 없던 것 말할 카리스마 넘치는 정치인”

16일 총통 선거에서 ‘변화’를 택한 대만 국민은 함께 치러진 입법원 선거에서도 새로운 면면의 후보들을 의회로 보냈다.

그 중 유명 록가수 린창쭤(프레디 림·40)의 입법원 입성이 가장 눈길을 끈다.

그는 신생정당 ‘시대역량’ 소속으로 타이베이 시의 한 선거구에 출마, 여당 국민당의 5선 의원 린위팡 등 6명의 다른 후보들과 붙어 49.5%의 득표율로 당당히 배지를 달았다.

린창쭤는 당선 확정 이후 “나는 아시아에서 의회에 입성하는 첫 번째 록가수”라며 “이번 승리는 더 나은 대만을 위해 국민 누구나 국회의원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고 기뻐했다.

그는 대만의 유명 블랙메탈 밴드 ‘소닉’(Chthonic)의 메인 보컬을 맡고 있다.

린창쭤가 대학생이던 1995년 결성한 이 밴드는 데스메탈과 대만 전통음악을 접목, 유럽과 미국으로도 이름을 알리며 인기를 끈 대만 최고 밴드다.

치렁치렁 기른 머리를 휘날리며 무대를 휘어잡던 림은 중국 종속화에 반대하는 청년들의 시위 ‘해바라기 운동’으로 태동한 정당 ‘시대역량’의 창립에 힘을 보태며 정치인의 길에 들어섰다.

미국 워싱턴포스트(WP)는 “린창쭤는 베이징(중국 정부)에 있어 최악의 악몽을 상징할 지도 모른다”며 ‘말할 수 없던 것을 말하기를 두려워 않는 카리스마 넘치는 정치인’으로 그를 묘사했다.

린창쭤는 2010∼2014년 국제앰네스티 대만 지부의 최연소 지부장을 맡는 등 사회 참여와 정치적 행동을 주저하지 않았다.

그는 콘서트에서 티베트 깃발을 흔들며 티베트의 민족자결을 지지하기도 했다.

최근 홍콩에서 중국에 비판적인 책을 판매하다가 실종된 서점 관계자들과 관련해서는 “최근 반세기 사이 중국의 일부가 된 모든 지방은 표현의 자유를 잃었다”고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2008년 총통 선거에서 민진당 후보를 지지하는 등 꾸준히 대만의 독립을 부르짖어와 중국으로서는 껄끄러을 수밖에 없는 인물로 꼽힌다.

신복자 서울시의원, 안심귀가·안전지원 사업의 실효성 제고와 근본 개선 촉구

서울시의회 보건복지위원회 신복자 의원(국민의힘, 동대문4)은 지난 5일 열린 여성가족실 행정사무감사에서 시민의 안전한 귀갓길과 범죄예방을 위해 추진 중인 주요 사업들의 재정사업 평가 ‘미흡’과 저조한 이용률이 지속되고 있음에도 근본적인 개선 없이 사업이 진행되고 있음을 지적했다. 신 의원은 안심귀가스카우트 사업이 2023년에 이어 2024년 재정사업 평가에서 연속으로 ‘매우 미흡’ 등급을 받았음에도 활성화 노력은 미비하고, 오히려 예산과 인력만 대폭 축소되고 있는 상황에 깊은 우려를 표명했다. 안심귀가스카우트는 여성, 청소년 등 범죄 취약계층에 대한 안전한 귀가 지원서비스로 사업 예산은 2022년 37억원에서 2025년 12억원으로 줄었으며, 2026년 예산안은 그 절반 수준인 6억원으로 책정되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이에 따라 스카우트 대원 인원 역시 2024년 334명에서 점차 줄어 2026년에는 60명으로 더 축소될 계획이다. 신 의원은 “60명의 인원으로 25개 구의 안전 귀가 서비스를 어떻게 소화할 수 있을지 우려스럽다”고 말하며, 단순히 예산을 줄이고 인원을 축소하면서 자치구와 재원 분담을 추진하는 것은 사업의 근본적인 해결책이 아닌 책임
thumbnail - 신복자 서울시의원, 안심귀가·안전지원 사업의 실효성 제고와 근본 개선 촉구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