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PP효과 예측 학자들마다 ‘제각각’…“정반대 결과도 도출”

TPP효과 예측 학자들마다 ‘제각각’…“정반대 결과도 도출”

입력 2016-02-05 09:51
수정 2016-02-05 09:5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세계 최대 자유무역협정인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이 4일 뉴질랜드에서 공식 서명되면서 세계 경제학자 사이에서도 TPP의 효과를 둘러싼 논쟁이 더욱 가열될 전망이다.

저명 대학이나 연구소의 연구자들은 이미 학문적 역량을 총동원, 자신들의 의견을 내놓으며 치열한 논쟁에 가세하고 있다.

최근 수 주 동안에만 최소 3개의 연구 보고서가 다른 경제모델을 이용, 정반대의 결과를 도출하면서 이는 12개 서명국 내 정치적 논쟁을 심화하는 요인으로도 작용할 것이라고 일간 디 오스트레일리안 파이낸셜 리뷰(AFR)는 5일 전했다.

최근 TPP의 경제적 효과 논란에 불을 지핀 것은 미국 터프츠대 국제개발환경연구소(GDAE) 소속 경제학자들이 최근 내놓은 보고서다.

터프츠대 보고서는 TPP가 일자리를 창출하기는커녕 고용이 감소하고 소득 불균형도 증대하면서 결국 국내 수요도 더욱 약화시킬 것이라고 주장했다.

앞서 미국 피터슨 국제경제연구소와 세계은행이 내놓은 긍정적 전망을 정면으로 반박하는 내용인 셈이다.

터프츠대 보고서는 미국의 경우 TPP가 없을 때에 비해 소득이 0.5%P 감소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아 같은 수준의 증가 전망을 제시한 피터슨 연구소의 분석과 대조를 보였다. 고용과 관련해서도 발효 후 10년간 미국 44만8천 개 등 12개 회원국에서 모두 77만1천 개의 일자리가 사라질 것으로 내다봤다.

보고서는 “다른 참가국들의 경제적 이득도 무시해도 될 만한 수준”이라며 “선진국들에는 10년간 1% 미만이, 개발도상국들에는 3% 미만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호주도 2025년까지 성장이 0.87%에 그칠 것으로 예상해 농업 수출에서 호주가 최대의 혜택을 받을 것이라는 미국 농무부의 평가를 무색하게 했다.

반면 비가입국가들에는 성장과 고용에 부정적이어서 TPP가 국제적 불안전성의 위험을 높이고, 안전과 노동, 환경 등의 기준을 낮춰 비용을 절감하려는 이른바 ‘바닥을 향한 경주(Race To The Bottom)’를 재촉할 수 있다고 보고서는 경고했다.

이밖에 이 보고서는 자신들이 ‘더욱 현실적인 경제 모델’을 이용했다며 TPP를 긍정적으로 평가한 이전의 연구 보고서들은 완전고용이나 소득분배 불변 같은 비현실적 가정을 기초로 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바로 반박이 이어졌다. 피터슨 연구소의 로버트 Z. 로런스는 한 블로그에 자신 연구소의 분석이 왜 모든 점에서 더 뛰어나고 특히 거대 무역협정의 영향을 측정하는 데 적합한지를 자세히 설명하며 날을 세웠다고 뉴욕타임스는 전했다.

한편, TPP 협정을 놓고 미국 의회 내 의견이 갈리면서 미 행정부는 오는 11월 선거 이후로 의회 비준을 추진하고 덩달아 다른 회원국들은 미국의 결과를 보고 비준 절차 들어갈 것으로 전문가들은 예상하고 있다.

신복자 서울시의원, ‘서울시립 아동힐링센터 개소식’ 참석

서울시의회 보건복지위원회 신복자 의원(국민의힘, 동대문구 제4선거구)은 지난 1일 서울시립아동힐링센터(동대문구 답십리로69길 106) 개소식에 참석, 서울시의 아동에 대한 심리·정서 공공치료 기반 마련에 대한 기대와 환영의 뜻을 전했다. 서울시 아동양육시설 내 전체 아동 1591명 중 약 43%에 해당하는 679명이 정서적·심리적 집중 치료가 필요한 상황에서, 이번 센터 개소는 공공 차원의 본격적인 대응이라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서울시립 아동힐링센터는 ADHD, 우울, 외상 경험 등으로 치료가 필요한 아동을 대상으로 최대 6개월간 입소 치료를 제공하며, 심리상담사, 사회복지사,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놀이치료사 등 전문가들이 협력하여 맞춤형 비약물 치료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치료 종료 후 아동은 원래 생활하던 양육시설로 귀원하거나, 재입소할 수 있다. 신 의원은 축사에서 “서울시아동힐링센터는 단순한 보호시설을 넘어, 상처 입은 아동의 마음을 치유하고 회복의 기회를 제공하는 공간”이라며 “이곳에서 아이들이 자기 자신을 이해하고, 다시 일어설 수 있는 힘을 키워나가길 진심으로 바란다”라고 전했다. 이어 “서울시가 정서적 돌봄을 제도화하고, 전문가의
thumbnail - 신복자 서울시의원, ‘서울시립 아동힐링센터 개소식’ 참석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