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중국 거주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 같은 날 별세

한국·중국 거주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 같은 날 별세

입력 2016-05-18 07:19
수정 2016-05-18 07:1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일제 강점시 일본군 위안부로 끌려갔던 중국과 한국의 피해자 할머니 두 분이 같은 날 별세했다.

중국에 사는 한국인 출신 위안부 피해자인 이수단 할머니가 17일 오후 3시께(현지시간) 헤이룽장(黑龍江) 성 둥닝(東寧)현의 한 양로원에서 지병으로 별세했다. 향년 95세.

이 할머니는 일제강점기 고향인 평양에서 ‘중국 하얼빈(哈爾濱)에 공인(工人)을 모집한다’는 광고를 보고 자원했다가 위안부가 됐다.

이 할머니는 러시아 연해주에 인접한 국경도시인 둥닝으로 끌려와 위안소에서 일본군의 ‘성노예’로 혹사됐다.

이곳에서 생활하던 위안부 피해자들은 2차대전이 끝난 뒤 일본군에게 버림받았고 본국 정부도 이들에게 전혀 관심을 기울이지 않는 바람에 고향에 돌아가지 못했다.

이 할머니는 70년 넘는 세월이 흐르면서 본인의 이름 외에 한국말을 모두 잊어버리고 말년에는 치매증세까지 보였다.

어렵사리 1970년대 초 북한의 가족과 연락이 닿아 편지, 사진을 주고받았지만 1973년 이후 그마저 연락이 끊겼고, 가족사진 한 장에 의지해 살아왔다.

고향에 가고 싶은 마음도 있었지만 반겨줄 이가 없을 것 같다는 생각에 선뜻 나서지를 못했다.

위안부의 굴레를 벗고 결혼했으나 자식을 얻지 못하고 남편과 사별하는 아픔도 겪었다. 중국인 양자가 지난 수년간 할머니의 수발을 들었다.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의 쉼터인 ‘나눔의집’ 원장 혜진(惠眞) 스님이 지난 1998년 이곳에 들러 이 할머니를 포함해 당시 5명의 위안부 피해 할머니가 생존해 있다는 소식을 한국에 처음 알렸다.

2003년에는 안세홍 사진작가가 할머니를 찾았을 때 한 맺힌 마음을 표현하고 싶어도 할 수 없어 애태우는 모습을 보였다.

그간 중국에 머물면서 중국 국적을 받았다가 지난 2005년 우리 정부의 도움으로 한국 국적을 회복했다. 그러나 고령에다 기력이 떨어져 고국 땅을 밟지 못했다.

말년의 이수단 할머니는 양로원장이 선물한 인형을 자신의 아이로 여기며 살았다고 주변 인물들은 전했다.

헤이룽장성을 관할하는 주 선양(瀋陽) 한국총영사관은 현지 당국에 할머니의 장례를 중국식으로 간략하게 하지 말고 한국식 장례예식으로 치르도록 요청하고 장례절차를 주관하도록 영사를 파견했다.

전남 해남에 살던 위안부 피해자 공점엽 할머니는 이날 오후 5시12분께 지병으로 인해 향년 96세로 별세했다고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가 밝혔다.

공 할머니는 작년 설 무렵 뇌졸중으로 쓰러진 이후 1년 반 가량 병원에서 투병해온 것으로 전해졌다.

공 할머니는 16세이던 1935년 일본군 위안소로 끌려가 1943년까지 모진 고초를 겪었다. 1945년 귀국해 전남 해남 땅끝마을에서 어렵게 가정을 꾸리고 힘겨운 삶을 살아오다가 지난 설 무렵 뇌졸중으로 쓰러졌다.

이날 이 할머니와 공 할머니가 별세함에 따라 정부에 등록된 위안부 피해자 238명 중 생존자는 42명(국내 39명·국외 3명)으로 줄었다.

강은희 여성가족부 장관은 “올해 초 두 분의 할머니께서 돌아가셨는데, 오늘 황망스럽게도 두 분이 같은 날 돌아가시어 안타깝고 비통한 마음 금할 수 없다”며 “장례 지원에 최선을 다하고 고인께서 가시는 길에 예의를 다할 것”이라고 애도의 뜻을 밝혔다.

김혜지 서울시의원, 묘곡초 정문 환경개선 및 노후 울타리 교체 완료

서울시의회 도시안전건설위원회에서 의정 활동 중인 김혜지 의원(국민의힘, 강동1)은 18일 학교 정문 옆 수목 정비와 울타리 교체 공사를 마친 묘곡초등학교를 방문해 교장 선생님과 함께 안전하게 개선된 학교 환경을 확인했다. 1985년 개교한 고덕1동 묘곡초등학교(교장 김봉우)는 “즐거운 배움으로 함께 성장하는 묘곡”이라는 비전을 가지고 1300여 명의 초등학교 학생들이 생활하고 있는 교육의 터전이다. 개교 후 40년이 경과해 많은 시설물이 노후됐고 주기적인 보수가 필요하지만 예산 부족으로 적기 보수가 어려운 실정이었다. 특히 정문 옆 큰 수목들이 시야를 가려 아이들이 위험했고 학교 울타리는 철물이 날카롭게 돌출돼 학생들이 다칠 위험이 있었다. 김 의원은 서울시의회 3기 예산결산특별위원으로 활동하면서 학교 측의 긴급한 요청을 받고 필요한 예산이 편성되도록 서울시교육청과 협의해 1억 5000만원의 예산을 편성하게 됐다. 이번 공사로 학교의 정문 및 후문의 수목 정비와 아스콘 재포장, 미끄럼 방지 포장을 했고 노후 울타리는 디자인형 울타리 24m와 창살형 울타리 315m로 교체 설치했다. 또한 조경 식재 144주와 고덕아이파크와 접한 부지 수목 정리도 같이
thumbnail - 김혜지 서울시의원, 묘곡초 정문 환경개선 및 노후 울타리 교체 완료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