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댜오위다오’ 군사시설 촬영 일본인 간첩혐의 기소

中 ‘댜오위다오’ 군사시설 촬영 일본인 간첩혐의 기소

입력 2016-05-25 10:32
수정 2016-05-25 10:3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지난해 중국에서 간첩 혐의로 체포됐던 일본인이 중국과 일본간 영유권 분쟁지역인 댜오위다오(釣魚島·일본명 센카쿠<尖閣>열도) 관련 군사시설을 촬영하다 적발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당국은 지난해 5월 저장(浙江)성에서 체포한 50대 일본인 남성의 기소 사실을 최근 일본 측에 통보했다고 중국 인터넷매체 국제재선(國際在線)이 25일 일본 언론을 인용해 보도했다.

이 일본인에 대해 어떤 혐의가 적용됐는지, 어떤 법원에서 재판을 받을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국가기밀과 관련된 혐의여서 비공개 심리가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 법률로는 국가안보에 위해를 가하는 간첩 행위에 대해서는 최고 사형에 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 일본인은 저장성 원저우(溫州)시 연안에서 30㎞ 떨어진 난루(南鹿)열도의 군사시설 주변에서 사진을 촬영하다 적발돼 중국 당국의 구속 수사를 거쳐 지난해 9월 정식으로 체포됐다.

댜오위다오에서 서북쪽으로 300㎞ 떨어진 곳에 위치한 난루열도는 댜오위다오와 관련된 해상탐지 시설 등이 밀집해있는 곳으로 알려져 있다.

이 남성 외에도 지난해 5∼6월께 또 다른 일본인 3명이 간첩 혐의로 중국 공안에 체포돼 있는 상태다. 이들은 각각 단둥(丹東), 상하이(上海), 베이징(北京)에서 체포됐다. 이들 간에는 별다른 연관성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정부는 지난 2014년 ‘반(反)간첩법’을 제정한 데 이어 작년에는 새로운 ‘국가안보법’을 시행하며 외국인의 첩보활동 차단조치를 강화하는 한편 대외적으로도 간첩행위에 대한 강경 처벌을 공언해온 바 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