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 “美 제재 맞대응 모스크바 미 국제학교 폐쇄 보도는 거짓”

러 “美 제재 맞대응 모스크바 미 국제학교 폐쇄 보도는 거짓”

입력 2016-12-30 19:41
수정 2016-12-30 19:4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외무부 대변인 밝혀…한국 외교관·기업 주재원 자녀 120명도 재학

러시아의 미국 대선개입 해킹 의혹과 관련한 미국의 대(對)러 제재에 러시아가 모스크바 소재 미국 학교 폐쇄로 보복할 것이란 보도는 사실이 아니라고 러시아 외무부가 30일(현지시간) 밝혔다.

마리야 자하로바 외무부 대변인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 계정에 올린 글에서 “미국 공직자가 익명으로 (미국의 대러 제재에 대한) 대응 조치로 러시아가 모스크바 소재 미국 학교를 폐쇄했다고 브리핑했다”며 “이는 거짓이다”라고 밝혔다.

자하로바 대변인은 “미 백악관은 완전히 분별력을 잃고 자신들의 아이들에 대한 제재를 지어내기 시작했다”고 비난했다.

그는 이어 “이는 미국 언론 보도에 대한 러시아의 반박이 아니다”면서 “있는 그대로 CNN과 다른 서방 언론이 또다시 미국 공직자를 인용해 거짓 정보를 유포시켰다”고 써달라고 자국 언론에 요청했다.

이에 앞서 미국 방송 CNN은 전날 미 당국자를 인용해 러시아 정부가 모스크바에 있는 미국 국제학교((Anglo-American School of Moscow)에 폐교 명령을 내렸다고 보도했다.

이는 미국의 대(對)러시아 제재가 발표된 뒤 첫 번째 맞대응 조치로 해석됐다.

지난 1949년 개교한 모스크바 미국 국제학교는 모스크바 주재 미국, 영국, 캐나다 대사관 직원의 자녀를 비롯해 미국 등 외국 국적의 학생들이 다니는 곳이다.

모스크바 주재 한국 외교관과 주재원, 개인사업가 자녀 120여 명도 공부하고 있다.

미 의회전문지 더 힐은 홈페이지를 인용해 이 학교에 전 세계 60개국 출신 학생 1천250명이 재학 중이며 현재 겨울방학 기간이라고 보도했다.

또 CNN은 모스크바 북서쪽 자연휴양림 ‘세레브랸니 보르’(은색의 숲)에 자리한 미 대사관의 별장도 곧 폐쇄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러시아 당국자들은 앞서 미국의 러시아 제재에 상응하는 조치가 이어질 것이라고 경고한 바 있다.

드미트리 페스코프 대통령 공보비서(공보수석)는 “상호 원칙에 근거해 적절한 방식으로 대응하겠다”면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이를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 정부는 29일 러시아의 대선개입 해킹에 대한 보복조치로 러시아 외교관 35명을 추방하고 뉴욕과 메릴랜드에 있는 러시아 외교시설 2곳을 폐쇄하기로 했다.

김용일 서울시의원, 서울투자진흥재단 출범식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 13일 서울글로벌센터빌딩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서울투자진흥재단 출범식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이날 출범식에는 오세훈 서울시장, 최호정 서울시의회 의장, 임춘대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장, 주한 카타르 대사 등 각국 외교관과 홍콩투자청 등 해외 투자 기관 관계자 및 자본가들이 참석해 서울투자진흥재단의 성공적인 출발을 기원했다. 김 의원은 재단의 출범을 위한 준비위원회에서 활동했던 경험을 회상하며 “공식 기관 명칭이 ‘서울투자청’이었으면 좋았겠지만, 오늘 출범하게 되어 감회가 새롭다”라며 소회를 밝혔다. 그는 세계 도시 경쟁력 6위인 서울의 잠재력을 언급하며 “서울투자진흥재단이 세계가 서울로 향하는 길에 든든한 길잡이가 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표했다. 김 의원은 재단이 이사장 이하 구성원들의 풍부한 경험과 인베스트서울의 선험적 경험을 바탕으로 K-금융과 K-뷰티 산업의 글로벌 투자 유치 플랫폼 역할을 충실히 수행해 실질적인 성과물을 만들어낼 것을 강조했다. 한편, 김 의원은 재단 고위 관계자로부터 재단의 오늘이 있기까지 그간의 김 의원 역할에 감사를 표한다는 전언을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서울투자진흥재단 출범식 참석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