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닷가재·스테이크·새우·와인…트럼프 취임식 오찬 메뉴

바닷가재·스테이크·새우·와인…트럼프 취임식 오찬 메뉴

입력 2017-01-18 11:05
수정 2017-01-18 11:0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도널드 트럼프 당선인이 20일(현지시간) 45대 미국 대통령 취임 선서를 하고 대통령으로서 최초로 접할 식단이 공개됐다.

미국의회합동취임식준비위원회(JCCIC)가 17일 소개한 취임식 오찬은 세 가지 코스 요리로 준비된다.

북동부 메인산 바닷가재, 새프런 소스로 버무린 멕시코만 새우, 땅콩 크럼블로 이어지는 첫 번째 코스에 이어 감자 그라탱을 곁들여 다크 초콜릿 소스가 얹힌 버지니아산 쇠고기 스테이크가 두 번째 코스로 나온다.

초콜릿 수플레와 체리 바닐라 아이스크림이 디저트다.

트럼프 당선인은 술을 마시지 않지만, 모든 코스 요리엔 캘리포니아산 와인과 캘리포니아산 샴페인이 제공된다.

‘트럼프 와인’을 비롯한 트럼프 소유 기업에서 생산한 음식 또는 식자재는 오찬 메뉴에서 빠졌다.

미국 언론은 트럼프 당선인이 고향인 뉴욕 음식만을 고집하지 않고 미국 전역의 음식으로 상을 차렸다고 평했다.

트럼프 당선인이 취임 선서와 취임 연설을 하고 의회 조각상의 홀에서 주관할 대통령 취임식 오찬은 전통적인 행사다.

JCCIC가 마련하는 이 행사에 트럼프 당선인의 가족, 미국 연방대법원 대법관, 트럼프 내각 각료 등 200명이 참석한다.

대통령 취임식 오찬 전통은 제25대 대통령 윌리엄 매킨리가 취임 선서를 한 1897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JCCIC가 오찬 주최자로 나선 건 1953년 34대 대통령 드와이트 아이젠하워 취임식부터다.

오찬과 함께 신임 대통령의 연설, 선물 증정, 새 정부 순항을 기원하는 건배가 이어진다.

JCCIC는 트럼프 당선인과 마이크 펜스 부통령 당선인에게 미국 도자기 회사 레녹스의 수정 그릇을 선물로 준다.

트럼프 당선인의 그릇엔 백악관과 제퍼슨 기념관이 새겨진다. 펜스 당선인의 그릇에는 미국 의회와 링컨 기념관 형상이 들어간다고 USA 투데이가 소개했다.

WSB 방송에 따르면, 지미 카터 전 대통령은 1977년 취임식 때 대통령 취임 오찬을 취소했다. 카터와 로잘린 여사는 당시 리무진을 타고 백악관으로 가지 않는 대신 손을 잡고 백악관 앞길을 걸으며 축하객들과 기쁨을 함께 나눴다.

상원의원인 로이 블런트(공화·미주리) JCCIC 의장은 “대통령 취임식 오찬은 양당 의원들을 함께 모이게 해 정권을 평화롭게 이양하는 미국민들의 독특한 방식을 세계에 보일 기회를 준다”고 평했다.

김용일 서울시의원, 서울투자진흥재단 출범식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 13일 서울글로벌센터빌딩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서울투자진흥재단 출범식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이날 출범식에는 오세훈 서울시장, 최호정 서울시의회 의장, 임춘대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장, 주한 카타르 대사 등 각국 외교관과 홍콩투자청 등 해외 투자 기관 관계자 및 자본가들이 참석해 서울투자진흥재단의 성공적인 출발을 기원했다. 김 의원은 재단의 출범을 위한 준비위원회에서 활동했던 경험을 회상하며 “공식 기관 명칭이 ‘서울투자청’이었으면 좋았겠지만, 오늘 출범하게 되어 감회가 새롭다”라며 소회를 밝혔다. 그는 세계 도시 경쟁력 6위인 서울의 잠재력을 언급하며 “서울투자진흥재단이 세계가 서울로 향하는 길에 든든한 길잡이가 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표했다. 김 의원은 재단이 이사장 이하 구성원들의 풍부한 경험과 인베스트서울의 선험적 경험을 바탕으로 K-금융과 K-뷰티 산업의 글로벌 투자 유치 플랫폼 역할을 충실히 수행해 실질적인 성과물을 만들어낼 것을 강조했다. 한편, 김 의원은 재단 고위 관계자로부터 재단의 오늘이 있기까지 그간의 김 의원 역할에 감사를 표한다는 전언을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서울투자진흥재단 출범식 참석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