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유라 변심 징후 없어…‘특검 피하고 잊히기’ 통할까

정유라 변심 징후 없어…‘특검 피하고 잊히기’ 통할까

입력 2017-01-24 08:05
수정 2017-01-24 08:0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강제송환 결정 시기 전후 마음 바뀌지 않는 한 장기화

덴마크 올보르 구치소에 구금된 최순실 씨의 딸 정유라(21) 씨가 자진 귀국하는 쪽으로 변심했다는 징후는 24일 오전 현재까지 어디에서도 감지되지 않고 있다.

오히려 그보다는 한국 특검 수사를 회피하기 위한 시간 끌기로 더 마음을 굳힌 것으로 봐야 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에 따라 전날 한국 특검이 밝힌 대로, 또 덴마크 검찰이 그 이전 연합뉴스에 확인한 대로 정 씨의 송환 결정이 오는 30일 이전에 나온다 해도 실제 송환 여부와 시기는 기약할 수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덴마크 검찰은 일단, 정 씨를 조사한 경찰의 조사 보고서와 한국으로부터 건네받은 범죄인 인도 청구 서류를 면밀히 검토하고 이르면 이번 주, 늦어도 30일 오후에는 송환 결정을 내릴 것으로 보인다.

이는 정 씨의 구금 시한이 30일 오후 9시이기 때문에 가능한 자연스러운 연역이다.

일각에서 알려진 것처럼 결정 공표의 주체는 덴마크 법무부가 아니라 검찰이다.

덴마크 검찰은 유사 사건의 전례로 미뤄볼 때 2∼3개월이 걸릴 수도 있는 문제이지만 한국에서 이번 사안이 중대하게 다뤄지고 있음을 고려하는 모습이다.

하지만 덴마크 검찰이 구금 기간 연장 없이 이번에 송환을 결정해도 정 씨의 실제 송환 여부와 그 시기는 이에 좌우되는 대신 그가 이의 제기를 거쳐 다투게 될 소송전 추이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덴마크 사법 체계에 따라 정 씨는 지방법원, 고등법원, 대법원 3심을 거칠 수 있다. 다만, 한국과 달리 대법원 심판까지 받으려면 사전심사위원회의 심사를 통과해야 한다. 심사위가 대법원까지 갈 필요 없다고 보면 고법 판결이 확정된다.

문제는 이 과정에 얼마나 많은 시간이 소요될지 누구도 장담할 수 없다는 데 있다. 적어도 수개월을 끌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무엇보다 정 씨 측이 현지 변호인으로 선임한 검찰 출신의 페테 마틴 블링켄베르 변호사의 존재는 그 알 수도 없는 기간이 한층 더 늘어날 수 있다는 관측을 낳고 있다.

다다익선보다 소수 알짜 수임 전략을 쓴다는 그는 전문팀을 꾸려 의뢰인의 모든 혐의를 쟁점화하면서 소송전의 시간을 끄는 데 능수능란한 형사 사건 전문가라는 게 덴마크 법조계의 평가다.

돈세탁 등 경제사건에 특화됐다고 자신을 소개하는 그의 스타일을 복서에 견주자면 ‘인파이터’보다는 ‘아웃복서’에 가깝다는 것이다.

정 씨가 바로 이러한 엘리트 변호인의 조력 아래 버티기로 일관한다면 한국 특검의 1차 활동시한인 2월 28일을 넘기는 것은 물론, 연장 시 최종 활동시한인 3월 30일도 지나칠 가능성이 제기되는 배경이다.

주변에선 벌써, 조기 대선을 치르는 일이 생긴다면 관심은 온통 거기로 쏠릴 것이라며 정 씨가 가장 바라는 것은 시간이 흘러 자신의 존재가 잊히는 것이라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