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외교사령부’ 국무부 왜 침묵하나?…한 달 넘게 브리핑 중단

‘美외교사령부’ 국무부 왜 침묵하나?…한 달 넘게 브리핑 중단

입력 2017-02-23 09:47
수정 2017-02-23 09:4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틸러슨 장관도 발언 자제…“美 외교 주도권 잃을 수도”

세계 외교의 중심인 미국 국무부가 한 달 넘게 침묵을 지키고 있다.

북한이 탄도미사일 시험 발사를 하고, 미·중 외교·통상 갈등이 불거지고,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정책이 혼선을 빚었지만, 국무부는 입을 열지 않았다.

국무부가 매일같이 하던 브리핑은 지난달 17일 이후 한 달 넘게 중단된 상태다.

렉스 틸러슨 국무장관이 이달 2일 취임한 후로는 그의 공식 활동조차 언론에 제대로 알려지지 않고 있다.

미 언론은 틸러슨 장관이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교장관과 통화한 사실을 러시아 외교부를 통해 확인했고, 사우디아라비아 지도층과의 통화는 아랍권 통신사 보도를 보고서야 알게 됐다.

그러나 국무부는 통화 사실과 내용에 대한 미 언론의 확인 요청을 거부했다.

틸러슨 장관도 언론 접촉을 꺼리고 있다. 다자 외교 데뷔 무대로 지난 16~17일 독일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 외교장관회의에서 틸러슨 장관은 언론의 질문에 전혀 답변하지 않았다. 미 언론은 “틸러슨 장관의 입에서 나온 단어가 50개도 안 된다”고 전했다.

CNN방송은 외교 사령부와 사령탑의 침묵에 미 외교가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2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국무부가 미 외교 정책의 우선순위와 방향을 공개적으로 천명하며 세계 외교 무대를 휘어잡긴커녕 침묵이 지속하면 오히려 다른 나라에 주도권을 빼앗길 수 있다는 것이다.

제프 래스케 전 국무부 대변인은 “만약 국무부가 방송카메라 앞에 서지 않고 국제 현안에 관여하지 않는다면 미국의 정책이 무엇인지를 세계에 이해시킬 기회뿐 아니라 미국의 국익에 더 유리한 방향으로 이끌어갈 기회조차 잃어버리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국무부의 침묵은 트럼프 대통령의 ‘계산된’ 혹은 ‘튀는’ 외교 언사와 무관치 않다는 지적이 나온다.

중국을 향한 ‘하나의 중국’ 불용인 발언, 이-팔 문제에 대한 ‘1국가 해법’ 가능성 등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이 국무부의 기존 노선과 상충해 입을 다물 수밖에 없었다는 것이다.

P.J. 크롤리 전 국무부 대변인은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 중에서 가식이 얼마만큼인지, 진짜 정책은 얼마만큼인지 혼돈스럽다”며 “우리는 트럼프 정부의 외교 정책이 정확히 뭔지를 모르고 있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달 말 발표한 ‘반이민’ 행정명령이 주무부처인 국무부와 아무런 사전 논의 없이 나오자 외교관들의 사기는 뚝 떨어졌다.

이슬람권 7개국 출신자에 대한 한시적 미국 입국 금지 조치로 세계 곳곳에서 혼란이 빚어졌지만, 틸러슨 장관은 한 마디도 공식 언급을 하지 않았다.

여기에 틸러슨 장관이 석유회사 엑손모빌에서만 40년 넘게 근무한 ‘외교 문외한’이라는 점, 아직도 부장관, 차관, 차관보 등 실무관리를 지휘할 고위직이 공석이라는 점 등이 국무부 마비 사태의 이유로 꼽힌다.

현직 외교 관료는 CNN에 익명을 전제로 “지침이 없을 뿐 아니라 상의할 사람이 없다”며 “설령 상의하더라도 이분들이 이미 입을 다물라는 지시를 받은 터라 도저히 일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토로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