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운명 손에 쥔 뮬러 특검…12년 FBI 이끈 베테랑 수사관

트럼프 운명 손에 쥔 뮬러 특검…12년 FBI 이끈 베테랑 수사관

입력 2017-05-18 14:39
수정 2017-05-18 14:3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진실·독립성 면에서 좋은 평가…베트남 참전 용사 출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위기로 몰고 간 ‘러시아 스캔들’의 특별검사로 로버트 뮬러 미 연방수사국(FBI) 전 국장이 17일(현지시간) 임명됐다.

72세인 뮬러 전 국장은 12년간 FBI 수장을 지낸 베테랑 수사관으로 정평이 나 있다.

뮬러 특검은 2001년 9월부터 2013년 9월까지 FBI 국장을 지냈다. 그는 9·11 테러가 발생한 지 불과 일주일이 지난 시점에 FBI 국장 자리에 올라 테러와의 전쟁에 몰입했다.

AP통신은 뮬러가 FBI 수장이 됐을 때 마약과 화이트칼라·흉악 범죄에서 활약할 것이란 기대감이 있었지만 일주일 후 9·11 테러가 발생하면서 임무가 바뀌었다고 설명했다.

FBI 국장의 임기는 원래 10년이지만 버락 오바마 대통령 정부 때 의회는 뮬러 특검의 임기를 2년 더 늘리는 법안을 통과시켰다.

뮬러 특검은 이에 따라 48년간 FBI 국장을 맡은 존 에드거 후버 다음으로 긴 임기를 보낸 국장으로 기록됐다.

트럼프 대통령의 선거캠프와 러시아 정부의 내통 의혹, 러시아의 대선개입 조사를 진두지휘하다 경질된 제임스 코미 전 FBI 국장이 뮬러 특검의 후임이었다.

뮬러 특검이 법조계에 발을 들여놓은 시기는 1970년대 후반이었다.

그는 1973년 버지니아대 로스쿨을 졸업한 후 1976년까지 샌프란시스코에서 소송변호사로 활동했다.

이후 12년간 검찰 조직에 몸담아 캘리포니아 북부지검의 범죄국, 매사추세츠 지검 등에서 활동했다.

중간중간 법률회사로 이직하기도 했던 뮬러 특검은 1995년 공직 생활을 다시 시작했다.

뮬러 특검은 FBI 국장직을 수행하면서 많은 성과를 냈다.

2009년 크리스마스 때 디트로이트행 여객기의 테러를 계획한 알카에다의 시도를 좌절시킨 일은 커다란 공으로 꼽힌다.

코미 전 국장이 2004년 조지 부시 정권에서 법무장관 대행으로 있으면서 백악관 보좌진들의 ‘불법도청 재인가’ 압력을 막아낼 때 뮬러 특검도 힘을 보낸 일화는 유명하다.

뉴욕타임스(NYT)는 9·11 테러가 발생하고 얼마 지나지 않아 FBI 수장을 맡은 뮬러 특검이 내부에서 거칠면서도 빈틈없는 리더십을 보여준 것으로 알려진다고 전했다.

그는 진실성과 독립성 면에서 민주와 공화 양당에서 좋은 평가를 받았다.

2013년 9월 4일 FBI를 떠난 뮬러 특검은 2014년부터 법률회사 윌머헤일에서 일하고 있다.

그는 특검에 임명되면서 이해충돌을 피하고자 법률회사 업무를 그만하기로 했다.

뮬러 특검은 이날 특검 임명 관련 성명을 내고 “(특검의) 책임감을 받아들이며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범죄, 테러, 부패 수사 등에서 능력을 발휘한 뮬러 특검은 참전용사이기도 하다.

그는 로스쿨을 졸업하기 전 3년간 해병대에서 복무하면서 베트남 전쟁에 참전했다. 미 정부는 뮬러 특검에게 전투 중 부상한 군인에게 주는 ‘퍼플 하트(Purple Heart)’ 훈장과 동성 훈장(Bronze Star) 등을 줬다.

뮬러 전 국장이 특검에 임명됐다는 소식에 대체로 우호적인 평가가 나왔다.

민주당의 낸시 펠로시(캘리포니아) 하원 원내대표는 성명을 통해 뮬러 특검이 “최고의 진실성으로 공직에 봉사한 존경받는 인물”이라고 치켜세웠다.

미 하원 정부감독개혁위원회 민주당 간사인 일라이자 커밍스(메릴랜드) 의원도 “믿음직한 결정”이라고 반겼다.

공화당 소속이자 하원 정부개혁감독위원회 위원장을 맡은 제이슨 차페츠(유타) 의원 역시 “굉장한 선택”이라며 나무랄 데 없는 자격을 갖춘 뮬러 특검의 임명을 “광범위하게 수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뮬러 국장 시절 FBI 부국장을 지낸 존 피스톨은 “더 낳은 선택을 생각해 볼 수 없다”며 독립적인 조사에 따른 백악관의 신뢰 회복을 위해서도 잘된 결정이라고 강조했다.

김용일 서울시의원, 서울투자진흥재단 출범식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 13일 서울글로벌센터빌딩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서울투자진흥재단 출범식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이날 출범식에는 오세훈 서울시장, 최호정 서울시의회 의장, 임춘대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장, 주한 카타르 대사 등 각국 외교관과 홍콩투자청 등 해외 투자 기관 관계자 및 자본가들이 참석해 서울투자진흥재단의 성공적인 출발을 기원했다. 김 의원은 재단의 출범을 위한 준비위원회에서 활동했던 경험을 회상하며 “공식 기관 명칭이 ‘서울투자청’이었으면 좋았겠지만, 오늘 출범하게 되어 감회가 새롭다”라며 소회를 밝혔다. 그는 세계 도시 경쟁력 6위인 서울의 잠재력을 언급하며 “서울투자진흥재단이 세계가 서울로 향하는 길에 든든한 길잡이가 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표했다. 김 의원은 재단이 이사장 이하 구성원들의 풍부한 경험과 인베스트서울의 선험적 경험을 바탕으로 K-금융과 K-뷰티 산업의 글로벌 투자 유치 플랫폼 역할을 충실히 수행해 실질적인 성과물을 만들어낼 것을 강조했다. 한편, 김 의원은 재단 고위 관계자로부터 재단의 오늘이 있기까지 그간의 김 의원 역할에 감사를 표한다는 전언을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서울투자진흥재단 출범식 참석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