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성인 비만율 OECD 최저수준…일본·인도보다는 높아

한국 성인 비만율 OECD 최저수준…일본·인도보다는 높아

입력 2017-05-21 10:39
수정 2017-05-21 10:3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한국 5%, 미국 38%…韓여성 교육수준 따라 체중격차 큰편

한국의 성인 비만율은 스무 명 가운데 한 명꼴로 주요 선진국 가운데 최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21일(현지시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발간한 ‘비만 업데이트 2017’에 따르면 한국의 만 15세 이상 성인 비만율은 5.3%(2015년 또는 최신 자료 기준)로, 35개 회원국 가운데 두 번째로 낮았다.

중국, 브라질, 러시아 등 9개 비회원국의 비만율 통계와 비교하더라도 인도(5.0%)를 제외하면 가장 낮았다.

비만을 포함한 과체중 비율 역시 33.4%로 일본(23.8%)에 이어 낮은 편에 속했다.

성별로는 한국 남성 비만율은 6.1%, 여성은 4.6%로 날씬한 여성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비만은 체중(㎏)을 키(m)의 제곱으로 나눈 체질량지수(BMI)가 30 이상인 경우를, 과체중은 BMI 25 이상인 경우를 뜻한다.

OECD 평균 비만율은 19.5%로 성인 5명 가운데 1명은 비만한 것으로 나타났다. 과체중 비율은 무려 53.4%로 성인 절반이 과체중이었다.

OECD 회원국 가운데 비만율이 가장 낮은 국가는 일본으로, 3.7%에 불과했다.

이외에 회원국 가운데 비만율이 한 자릿수인 국가는 한국과 이탈리아(9.8%) 두 곳뿐이었다.

비만율이 가장 높은 나라는 맥도날드, KFC 등 패스트푸드의 나라로 알려진 미국이었다. 미국의 비만율은 38.2%에 달했다.

이외에도 멕시코(32.4%), 뉴질랜드(30.7%), 헝가리(30%), 호주(27.9%), 영국(26.9%), 캐나다(25.8%)의 비만율이 높은 편으로 집계됐다.

비회원국 가운데서는 남아프리카공화국의 비만율이 26.5%, 코스타리카와 브라질의 비만율이 각각 24.4%, 20.8%였다.

회원국과 비회원국을 막론하고 아시아 국가의 비만율이 낮은 편이었다.

중국의 비만율은 7.0%, 인도네시아는 5.7%였으며 일본과 인도, 한국도 모두 6%에 미치지 않았다.

다만 OECD는 한국과 스위스를 현재보다 비만율이 빠르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하는 국가로 꼽았다.

한국의 비만율은 2020년이면 6%, 2030년에는 9%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또 한국은 여성의 교육 수준에 따른 체중 격차가 큰 편으로 나타났다.

한국 저학력 여성의 과체중 연관성 지수가 6.3(2014년 기준)으로 조사 대상인 8개국 가운데 가장 높았다. 이 지수는 2010년 5.0이었지만 4년 사이에 더 상승했다.

특히 캐나다(1.1), 미국(1.3), 영국(1.7) 등과 비교하면 크게 두드러졌다.

반면 남성의 경우 학력과 과체중의 연관성이 두드러지지 않았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