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소불위 마크롱?…친기업 정책·공권력 행사 ‘일방통행 우려’

무소불위 마크롱?…친기업 정책·공권력 행사 ‘일방통행 우려’

입력 2017-06-13 10:51
수정 2017-06-13 15:5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친기업 노동법 개정·경찰력 강화 등 급물살 탈 듯

프랑스 총선 1차 투표에서 압승을 거둔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11일(현지시간) 북부 휴양도시 르투케에서 지지자들을 향해 손을 흔들고 있다. 마크롱이 이끄는 중도 신생 정당 ‘레퓌블리크 앙마르슈’(전진하는 공화국)와 민주운동당 연합은 하원에서 최대 79%의 의석(577석 중 455석)을 확보할 것으로 예상됐다. 르투케 AP 연합뉴스
프랑스 총선 1차 투표에서 압승을 거둔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11일(현지시간) 북부 휴양도시 르투케에서 지지자들을 향해 손을 흔들고 있다. 마크롱이 이끄는 중도 신생 정당 ‘레퓌블리크 앙마르슈’(전진하는 공화국)와 민주운동당 연합은 하원에서 최대 79%의 의석(577석 중 455석)을 확보할 것으로 예상됐다.
르투케 AP 연합뉴스
프랑스 총선에서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이끄는 중도신당의 압승과 야당의 몰락이 예상되면서 마크롱 대통령이 과도한 권력을 손에 쥘 수 있다는 경고가 나오고 있다고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가 12일(현지시간) 전했다.

전날 실시된 프랑스 총선 1차 투표 출구조사 결과, 마크롱 대통령의 ‘레퓌블리크 앙마르슈’(전진하는 공화국)는 오는 18일 결선에서 전체 하원 의석 577개 가운데 400∼450석을 휩쓸어 최대 79%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됐다.

반면 2차 세계대전 이후 프랑스 현대정치를 좌·우로 양분해온 사회당과 공화당 등 야당은 의석이 절반에서 10분의 1 수준으로 줄어드는 등 완패가 예상된다.

이 같은 출구조사 결과가 현실화하면 1968년 6월 당시 여당이었던 샤를 드골의 공화국민주연합(UDR)의 완승 이래 프랑스 제5공화국 역사상 최대 승리가 된다.

이는 곧 마크롱 대통령이 제1 국정과제로 내건 노동 유연화 법안 등 친(親)기업 개혁과 테러 대응을 위한 경찰력 강화 조치 등을 신속하게 추진할 수 있게 된다는 의미다.

특히 앙마르슈 후보의 절반은 정치 신인들이라 새로 구성될 의회가 행정부에 예속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프랑스의 명문 그랑제콜 중 하나인 엑상프로방스 정치대학(IEP·시앙스포 엑스)의 정치학자 조엘 공뱅은 이번 출구조사 결과는 “향후 몇 달 혹은 몇 년간 의회가 매우 제한적인 역할을 하리라는 것을 의미한다”면서 “새로 당선된 의원들은 의정 경험이 전혀 없어 정부에 도전하고 싶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중도 좌파 사회당 정부에서 교육부 장관을 지낸 뒤 이번 총선에서 결선에 진출한 나자트 발로 벨카셈은 “마크롱에게 모든 권력을 주는 것은 그가 법안을 밀어붙이고, 공무원 일자리를 감축하도록 하는 것”이라면서 “모든 권력을 가진 자는 항상 그것을 남용하고 싶어지는 법”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이번 선거의 투표율이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는 점 등에서 여당의 독주를 유권자 다수가 마크롱 정부 정책을 지지한다는 의미로 해석하는 데는 무리가 있다는 주장도 있다.

1차 투표 기권율은 51.29%(투표 참가율 48.71%)로, 프랑스의 역대 총선 1차 투표 중에 처음으로 기권자가 등록유권자의 절반을 넘은 것으로 집계됐다.

극좌파 정당 ‘프랑스 앵수미즈’(굴복하지 않는 프랑스)의 대선후보였던 장뤼크 멜랑숑은 “여당이 거대 다수당이 될 것으로 보이지만, 이것이 마크롱의 정책에 대한 합의가 이뤄졌다는 뜻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국가대테러센터(NCC) 설치와 경찰 권한 강화 등에 따른 공권력 남용에 대한 우려도 제기된다.

미국 일간 뉴욕타임스(NYT)는 이날 사설에서 “마크롱이 행정권 남용의 유혹에 직면할 수 있다”면서 특히 마크롱 정부가 NCC 설치와 함께 2015년 11월 파리 테러 직후 선포된 국가비상사태 아래서 경찰에 부여된 특수 권한 일부를 영구화하는 법안을 추진하는 데 대한 우려를 드러냈다.

NCC 창설은 마크롱 대통령의 대선 공약으로, NCC는 대통령궁의 직접 지휘를 받게 된다. 약 20명의 정보 분석가가 내무부, 국방부, 법무부 등 각 부처 소속 기구가 수집한 정보를 한데 모아 살피고, 각 기구 간 정보 교환이 원활히 이뤄지도록 하는 역할을 맡는다.

NYT는 정보기관들의 정보 공유 실패 등으로 당국이 테러를 방지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대테러센터 설치 자체는 이해할 수 있지만, 이같이 중요한 행정부의 권한 행사를 견제할 사법부의 역할이 부재한 것은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NYT는 더욱 우려되는 부분은 국가비상사태 시의 조치를 일반법에 명문화하는 것으로, 이는 헌법상에 규정된 국민의 권리를 영구적으로 제한하게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해당 법안은 경찰이 영장 없이 수색, 가택연금, 전자팔찌 착용, 컴퓨터·휴대전화 비밀번호 요구 등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NYT는 이 같은 조치들은 테러 방지에는 거의 효과가 없는 반면 시민들의 권리는 엄청나게 침해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NYT는 해당 법안의 법제화를 막는 것은 프랑스 헌법재판소의 손에 달렸다면서, 헌재 시민들의 권리를 보류하는 예외적이고, 임시적인 조치를 영구적으로 만들어서는 안 된다고 촉구했다.

그렇지 않다면 새로운 프랑스를 만들겠다는 마크롱 대통령의 약속은 더욱 억압적인 공화국, 위임받는 권한을 넘어선 행정권 남용이라는 결과로 귀결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김혜지 서울시의원, 묘곡초 정문 환경개선 및 노후 울타리 교체 완료

서울시의회 도시안전건설위원회에서 의정 활동 중인 김혜지 의원(국민의힘, 강동1)은 18일 학교 정문 옆 수목 정비와 울타리 교체 공사를 마친 묘곡초등학교를 방문해 교장 선생님과 함께 안전하게 개선된 학교 환경을 확인했다. 1985년 개교한 고덕1동 묘곡초등학교(교장 김봉우)는 “즐거운 배움으로 함께 성장하는 묘곡”이라는 비전을 가지고 1300여 명의 초등학교 학생들이 생활하고 있는 교육의 터전이다. 개교 후 40년이 경과해 많은 시설물이 노후됐고 주기적인 보수가 필요하지만 예산 부족으로 적기 보수가 어려운 실정이었다. 특히 정문 옆 큰 수목들이 시야를 가려 아이들이 위험했고 학교 울타리는 철물이 날카롭게 돌출돼 학생들이 다칠 위험이 있었다. 김 의원은 서울시의회 3기 예산결산특별위원으로 활동하면서 학교 측의 긴급한 요청을 받고 필요한 예산이 편성되도록 서울시교육청과 협의해 1억 5000만원의 예산을 편성하게 됐다. 이번 공사로 학교의 정문 및 후문의 수목 정비와 아스콘 재포장, 미끄럼 방지 포장을 했고 노후 울타리는 디자인형 울타리 24m와 창살형 울타리 315m로 교체 설치했다. 또한 조경 식재 144주와 고덕아이파크와 접한 부지 수목 정리도 같이
thumbnail - 김혜지 서울시의원, 묘곡초 정문 환경개선 및 노후 울타리 교체 완료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