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랩톱 기내반입 금지’ 넉달만에 공식 해제

美 ‘랩톱 기내반입 금지’ 넉달만에 공식 해제

입력 2017-07-21 09:26
수정 2017-07-21 09:2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슬람권 8개국 10개공항 보안검색 강화기준 준수에 따라 다시 허용

미국이 테러 예방을 목적으로 중동과 아프리카 8개국 10개 도시에 대해 취했던 ‘항공기 내 랩톱 반입금지’ 조치를 4달만에 해제했다.

국토안보부는 20일(현지시간) 이 조처가 끝났다고 일간 뉴욕타임스(NYT)에 확인했다.

이에 따라 해당 이슬람권 공항에서도 승객이 보안검색을 통과하면 휴대전화보다 큰 전자기기를 기내에 갖고 탈 수 있다. 미국은 지난 3월 21일 요르단 암만과 쿠웨이트, 이집트 카이로, 터키 이스탄불, 사우디아라비아 제다와 리야드, 모로코 카사블랑카, 카타르 도하, 아랍에미리트(UAE) 아부다비와 두바이의 국제공항을 출발하는 미국행 항공기에 대해 이 조처를 적용했다.

수니파 무장 조직 이슬람국가(IS)가 전자기기안에 숨길 수 있는 항공기용 폭탄을 개발하고 있다는 정보를 입수한 데 따른 것이다.

그러나 지난 2일 아부다비 공항을 시작으로 이 규제를 점진 해제했다. 사우디의 제다와 리야드가 마지막으로 규제에서 풀려났다.

국토안보부는 한때 랩톱 반입금지 지역을 유럽까지 확대하는 방안도 고려했지만, 미국 항공 및 여행업계의 반발 속에 실행에 옮기지 않았다.

존 켈리 국토안보부 장관은 지난달 미국으로 오는 항공기에 대해 새로운 기준에 따른 검색이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폭발물 탐지능력을 강화하는 게 우선 순위에 올랐다.

국토안보부는 ‘랩톱 반입금지’가 적용된 10개 공항을 포함한 전 세계 280개 공항이 미국의 새로운 기준을 준수했고, 이에 따라 기내반입을 다시 허용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각국은 2단계로 올가을께 승객 인터뷰 등 강화된 보안검색 방안을 미국에 제시해야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