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존 클라우드 요금 ‘초’ 단위 부과…구글·MS와 가격경쟁

아마존 클라우드 요금 ‘초’ 단위 부과…구글·MS와 가격경쟁

입력 2017-09-19 11:59
수정 2017-09-19 11:5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미국의 아마존이 클라우드서비스의 요금 체계를 변경하며 구글, 마이크로소프트(MS)에 가격 전쟁을 선포했다.

19일 CNBC에 따르면 아마존의 클라우드서비스 사업부문인 아마존웹서비스(AWS)는 다음 달 2일부터 EC2 가상 서버를 이용하는 고객에게 ‘초’ 단위로 요금을 부과한다고 밝혔다.

2006년부터 적용한 ‘시간’ 단위 요금 체계를 초 단위로 변경함으로써 사실상 요금을 인하하는 것이라고 CNBC는 풀이했다.

제프 바 AWS 수석 에반젤리스트(기술전도사)는 EC2 서버 중 리눅스 가상머신(VM)을 이용하는 고객에게만 가격 변경이 적용된다고 설명했다.

공공 클라우드 시장을 주도하는 AWS가 요금 체계를 변경하는 것은 구글과 MS 애저(Azure)의 요금 인하에 대한 반격이다.

구글은 2013년 클라우드서비스 이용요금을 최소 이용시간 10분 이후부터 분 단위로 부과하는 방식으로 변경했고 MS 애저도 곧바로 이를 따랐다.

아마존은 최소 이용시간도 1분으로 타사보다 줄였다.

가격 인하는 아마존이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기 위해 이용하는 전통적 방식이다. 아마존의 클라우스서비스 점유율은 지금도 업계 1위다.

AWS는 지난 2분기 41억 달러(약 4조6천346억 원)의 매출을 올렸으며 9억1천600만 달러(1조355억 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