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탈루냐 경제 흔들리나…독립투표 이래 1천700개사 본부 이전

카탈루냐 경제 흔들리나…독립투표 이래 1천700개사 본부 이전

입력 2017-10-29 16:41
수정 2017-10-29 16:4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스페인 카탈루냐 사태 추이에 경제 변수가 추가됐다.

카탈루냐 독립 이슈를 둘러싼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간 정면 대결로 불확실성이 커지자 카탈루냐 경제가 이에 영향을 받고 있다고 영국 일간 텔레그래프가 2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 매체는 스페인 5개 대형은행 중 두 곳이 카탈루냐를 떠나겠다고 최근 발표했을 뿐 아니라, 3주 전 카탈루냐 독립 주민투표 이래 약 1천700개 회사가 카탈루냐 밖으로 본부를 옮겼다고 전했다.

이에 마리아노 라호이 총리는 카탈루냐 자치정부 해산과 중앙정부의 직할 통치라는 헌정 질서 복원 계획을 발표하면서 자신의 이 발표가 기업과 투자자들의 카탈루냐 이탈 행렬을 막으리라 기대한다고 밝혔다.

카탈루냐 자치의회가 독립국가 선포안을 가결하고 스페인 상원이 중앙정부의 카탈루냐에 대한 직접 통치안을 최종 승인한 27일에는 카탈루냐 주요 은행 주가가 크게 하락했다.

대표적으로 스페인에서 3번째로 큰 카익사방크와 5번째 덩치의 사바델 주가가 각각 5%, 6%가량 떨어졌다.

신문은 “이들 두 은행이 이달 초 카탈루냐 핵심도시 바르셀로나에 둔 본부를 옮기겠다고 밝힌 곳들”이라고 설명했다.

카탈루냐 기업인 단체에서 일하는 카를로스 리바두야는 이 신문에 “카탈루냐 상징인 카익사방크 같은 은행을 잃는 것은 사기가 꺾이는 일”이라면서 “(캐나다) 퀘벡에서 일어났던 일들이 여기서 일어나려 한다”고 우려했다.

카탈루냐 선도기업 이익단체 포멘트데트레발 요아킨 가이 회장도 “두 세대가 일군 성과를 우리가 파괴하는 것”이라고 가세했다.

신문은 불확실성 탓에 스페인 전체 국내총생산(GDP)의 20%를 차지하는 카탈루냐 경제가 약화할까 봐 많은 비즈니스 리더가 걱정한다며 이달 초 정부가 내년 성장률 전망치를 2.6%에서 2.3%로 낮춘 사실도 상기했다.

나아가 이번 달 카탈루냐행 항공기 예약률이 작년 같은 달보다 22% 줄었다고 신문은 소개했다.

신문은 그러나 “우린 지금까진 이번 정치적 위기의 경제적 영향을 제어할 수 있으리라 본다”라는 캐피털이코노믹스 소속 스테판 브라운 이코노미스트의 촌평을 덧붙였다.

‘강동엄마’ 박춘선 서울시의원, 출근시간대 혼잡 해소 8333번 맞춤버스 운행 예고

‘강동엄마’ 박춘선 서울시의원(강동3, 국민의힘)이 강동구 주민들의 출근길 교통난 해소를 위한 반가운 소식을 전했다. 그간 극심한 혼잡으로 주민 불편이 컸던 3324번 버스 노선의 혼잡도 완화를 위해 출근시간대 전용 신설노선 8333번이 12월 중 운행에 들어갈 예정이다. 지난 13일 서울시로부터 공식 보고를 받은 박 의원은 “오랜 기간 주민들이 겪어온 출근시간대 버스 혼잡 문제가 드디어 해결의 실마리를 찾게 됐다”며 “신설 노선이 강동구 주민들의 출근길을 한결 편안하게 만들어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신설되는 맞춤버스 8333번은 오전 6시 40분부터 8시 05분까지 총 8회 운행되며, 암사역사공원역–고덕비즈벨리–강일동 구간을 단거리로 반복 운행한다. 출근시간대에 집중되는 승객을 분산시켜 기존 3324번의 부담을 덜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간 3324번 버스는 평일 12대의 차량으로 운행되며 강일동을 경유해 왔지만, 출근시간대 최대 혼잡도가 160%를 넘어서며 승객 불편과 안전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특히 고덕비즈벨리 기업 입주 증가와 유통판매시설 확대로 승차 수요가 급증하면서, 기존 노선만으로는 혼잡 완화가 어려운 상황이었다. 박
thumbnail - ‘강동엄마’ 박춘선 서울시의원, 출근시간대 혼잡 해소 8333번 맞춤버스 운행 예고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