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 의원, 의회 연설 중 방청석 동성 파트너에 청혼

호주 의원, 의회 연설 중 방청석 동성 파트너에 청혼

김태이 기자
입력 2017-12-04 17:11
수정 2017-12-04 17:1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파트너 동의에 의석·방청석에선 박수…올 내 합법화 전망

호주에서 올 성탄절 이전 동성결혼 합법화가 예상되는 가운데 4일 연방 하원에서는 한 의원이 방청석의 동성 파트너에게 청혼해 시선을 끌었다.

보수성향의 집권 자유당의 팀 윌슨(37) 의원은 이날 동성결혼 합법화 법안이 공식적으로 제출된 직후 연설에 나섰고 끝 무렵 파트너에게 청혼해 승낙을 받았다고 호주 언론들이 보도했다.

윌슨 의원은 지난해 의회 첫 연설을 상기시키며 “나는 첫 연설에서 우리의 왼손에 낀 반지로 우리 관계를 규정했고, 이는 우리가 물어볼 수 없었던 질문에 대한 대답이었다”라고 말했다.

윌슨 의원은 곧 이어 “이제는 단 하나 할 것이 남아 있다”고 말하고는 방청석의 파트너 라이언 패트릭 볼저(33)의 이름을 부르며 “나와 결혼해 주겠습니까”라고 물었다.

볼저는 수줍은 미소와 함께 작은 소리로 “예”라고 답했고, 의석과 방청석에서는 박수가 터져 나왔다.

회의를 진행하던 롭 미첼 부의장은 두 사람의 청혼과 답변을 공식 기록으로 남기도록 지시하고 “축하합니다”하며 인사를 건넸다.

윌슨 의원은 초등학교 교사인 볼저와 9년간 파트너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윌슨 의원은 정치인으로 활동하는 동안 볼저가 곁에서 두터운 신뢰를 보내줬다며 감사 인사를 할 때는 눈물이라도 쏟을 듯 감정적인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그러나 그는 정치 입문 목적이 동성결혼 합법화보다는 세금개혁이라는 점도 강조했다.

호주에서는 동성결혼 합법화를 놓고 실시된 우편투표 결과, 62%의 압도적인 찬성으로 나타났으며, 이어 지난달 29일에는 연방 상원에서 관련 법안이 여유 있게 통과됐다.

이날 맬컴 턴불 총리를 포함한 일부 의원은 동성결혼과 관련한 거부권이 확대돼야 한다고 밝혀 상원 안의 일부 수정 필요성을 제기했다.

이에 따라 동성결혼 법안은 수정을 거쳐 다시 상원의 승인을 받아야 해 조금 늦어질 전망이지만, 여야 모두 성탄절 이전에는 합법화를 이뤄내야 한다는 데 공감대가 형성된 상태다.

동성결혼 반대를 이끌었던 총리 출신의 토니 애벗 의원도 이제는 국민 뜻에 따라 지지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김용일 서울시의원, 서울투자진흥재단 출범식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 13일 서울글로벌센터빌딩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서울투자진흥재단 출범식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이날 출범식에는 오세훈 서울시장, 최호정 서울시의회 의장, 임춘대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장, 주한 카타르 대사 등 각국 외교관과 홍콩투자청 등 해외 투자 기관 관계자 및 자본가들이 참석해 서울투자진흥재단의 성공적인 출발을 기원했다. 김 의원은 재단의 출범을 위한 준비위원회에서 활동했던 경험을 회상하며 “공식 기관 명칭이 ‘서울투자청’이었으면 좋았겠지만, 오늘 출범하게 되어 감회가 새롭다”라며 소회를 밝혔다. 그는 세계 도시 경쟁력 6위인 서울의 잠재력을 언급하며 “서울투자진흥재단이 세계가 서울로 향하는 길에 든든한 길잡이가 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표했다. 김 의원은 재단이 이사장 이하 구성원들의 풍부한 경험과 인베스트서울의 선험적 경험을 바탕으로 K-금융과 K-뷰티 산업의 글로벌 투자 유치 플랫폼 역할을 충실히 수행해 실질적인 성과물을 만들어낼 것을 강조했다. 한편, 김 의원은 재단 고위 관계자로부터 재단의 오늘이 있기까지 그간의 김 의원 역할에 감사를 표한다는 전언을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서울투자진흥재단 출범식 참석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