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이프가드는 美경제에 부메랑?…“오히려 일자리 상실” 우려도

세이프가드는 美경제에 부메랑?…“오히려 일자리 상실” 우려도

신성은 기자
입력 2018-01-23 16:31
수정 2018-01-23 16:3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美태양광협회 “투자 취소·연기 불가피”…블룸버그 “전기료 오를 것”

미국 정부가 22일(현지시간) 국내 산업 보호를 이유로 수입 태양광 패널과 세탁기에 세이프가드(긴급수입제한조치) 발동을 결정했지만 미국 기업 사이에서는 불만의 목소리도 터져나온다.

특히 한국 등으로부터 수입한 태양광 제품으로 태양광발전설비를 만드는 미국 업체들은 수입 부품 단가 인상으로 타격을 받을 가능성이 커 이번 세이프가드 조치가 미 경제에 부메랑으로 돌아올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먼저 마이클 블룸버그 전 뉴욕시장은 이날 트위터를 통해 태양광 제품 관세 부과 결정이 미국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그는 “수입 태양광 제품에 최고 30%의 관세를 부과하는 것은 미국 내 일자리를 파괴하고, 전기요금을 오르게 할 뿐만 아니라 환경도 해칠 것이다”라고 주장했다.

이어 “의회는 미국 노동자와 소비자를 위해 (이런 결정에) 맞서야 하고, 행정부의 해로운 결정을 뒤집어야만 한다”고 덧붙였다.

세이프가드 조치에 환호할 것으로 예상됐던 미국태양광산업협회(SEIA)도 이날 홈페이지 성명을 통해 비판행렬에 동참했다.

SEIA는 “수입 태양광 셀과 패널에 대해 30%의 관세를 부과하기로 한 트럼프 대통령의 결정에 실망을 금할 수 없다”며 “이 결정은 올해에만 미국에서 약 2만3천개의 일자리 상실로 이어지고, 태양광 분야에서 수십억 달러 규모의 투자가 취소되거나 연기되는 결과를 낳을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 대표적 유통업체인 시어스도 세탁기 관세 부과로 큰 타격을 받을 전망이다.

시어스는 자체 브랜드 켄모어의 대형 세탁기 생산을 LG 해외공장에서 대부분 아웃소싱하고 있다.

권고안을 작성했던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는 이를 고려해 LG 세탁기는 세이프가드 대상에서 제외할 것으로 제안했지만,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이를 무시했다고 로이터통신은 전했다.

반면 미정부의 이례적인 세이프가드 조치에 미소를 짓는 업체들도 있다고 블룸버그통신은 전했다.

중국 태양광 대표기업인 롱지와 미국 태양광업체인 퍼스트솔라와 솔라월드, 수니바 등이 그 주인공이다.

이중 수니바와 솔라월드는 한국 등으로부터 수입된 태양광 제품으로 피해를 봤다며 지난해 ITC에 청원을 제기해 이번 세이프가드를 조치를 끌어낸 장본인이다.

롱지는 중국 업체이지만 미국 내 공장 생산을 계획하고 있어 이번 세이프가드 철퇴를 비껴갈 것으로 보인다.

태양광 지붕 패널을 생산하는 테슬라는 이날 성명을 내고 “태양광 제품 관세 결정에 상관없이 국내 생산을 늘릴 계획”이라고 밝혔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김용일 서울시의원,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 7일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이날 총회에는 서울신용보증재단 손명훈 서대문지점장, 박정수 회장 등 상인회 관계자, 정재원 동장 등이 함께했다. 이번 총회는 북가좌2동 먹자골목의 상인들이 힘을 모아 골목형상점가로 지정받기 위한 첫걸음이었다. 무더위와 휴가철로 인해 상인들의 참석이 저조하여 아쉬움이 있었지만, 상인들은 골목상권 활성화에 대한 강한 의지를 보였다. 골목상권 구획화 및 육성지원 사업은 정책 사각지대에 놓인 골목상권을 상권 단위로 체계적으로 구획화하고, 골목형상점가 지정을 통해 상권 활성화와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사업이다. 골목형 상점가란 ‘전통시장 및 상점가 육성을 위한 특별법’ 제2조제2호의2에 따라 소규모 점포들이 일정 구역에 밀집된 지역으로, 전통시장이나 일반 상점가로 지정되기 어려운 골목상권을 보호하고 지원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로 2000㎡ 이내의 면적에 소상공인이 운영하는 점포가 30개 이상(서대문구는 25개) 밀집하여 있는 구역을 말한다. 골목형상점가 지정 시 온누리상품권 가맹점 가맹이나 정부 및 지자체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