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 품목 공급망, 100일간 검토 ‘탈중국 행보’ 한국 우위 반도체·배터리 등 반사이익 가능성도 다만 미국 내 생산 강화 기조 땐 큰 이익 없을 듯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24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핵심 품목 공급망을 검토하도록 한 행정명령에 서명을 하고 있다. AP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24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핵심 품목 공급망을 검토하도록 한 행정명령에 서명을 하고 있다. AP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24일(현지시간) 반도체 칩, 전기차용 대용량 배터리, 희토류, 의약품 등 4대 핵심 품목의 공급망을 검토하라고 지시했다. ‘탈중국’을 의도한 것이지만, 한국이 경쟁력을 지닌 품목도 포함돼 국내에 미칠 영향에도 관심이 쏠린다.
바이든은 이날 서명한 행정명령에서 4대 핵심 품목의 공급망을 향후 100일간 검토하도록 했다. 또 국방, 정보통신기술, 에너지, 운송, 보건, 식품 등 6개 분야에 대해 1년간 공급망을 검토할 것도 지시했다.
코로나19로 인해 글로벌 공급망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면서 미국은 이들 품목에 대해 수급상 어려움을 겪었다. 중국에서 수입하던 마스크 등 개인보호장비(PPE)는 심각하게 부족했고, 중국이 희토류를 무기화해 대미 수출을 제한할 가능성도 제기되는 형국이다. 또 차량용 반도체 칩이 부족해 미국 내 자동차 회사의 생산 라인이 멈춘 적도 있다.
바이든은 이날 서명 전에 민주당과 공화당의 상·하원의원 10여명을 백악관으로 초대해 대화를 나눈 뒤 ‘탈중국’에 대한 초당적인 지지가 있었다고 전했다. 도널드 트럼프식 관세 전쟁이 아닌 기술 경쟁으로 중국을 견제하겠다던 바이든식 구상이 구체화된 셈이다.
미국은 이번 조치로 위기 대응 능력을 키우는 동시에, 4대 핵심 품목의 자국 내 생산을 장려해 자국 내 투자 및 일자리 증가를 꾀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자국 내 생산보다 동맹을 통한 공급망 강화에 초점을 맞춘다면 한국이 반도체 칩과 차량용 배터리 분야에서 중국에 비교 우위를 누리게 될 가능성도 있다.
워싱턴 이경주 특파원 kdlrudwn@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