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보고서 “카슈끄지 암살, 왕세자가 승인” 공개 목전
사우디에 무기 판매 중단 등 선언…관계 경색 우려

AP 연합뉴스
무함마드 빈 살만 사우디아라비아 왕세자.
AP 연합뉴스
AP 연합뉴스
카슈끄지는 사우디 왕실을 비판한 대표적인 반체제 인사다. 2018년 10월 터키 이스탄불의 사우디 영사관에서 잔혹하게 살해됐는데, 미 정보당국은 이 암살의 배후에 살만 국왕의 아들이자 실권자인 무함마드 빈살만 왕세자가 있다고 보고 있다. 왕세자가 살해를 승인하고 지시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바이든은 이 사건을 이유로 대선 기간 사우디를 ‘버림받은 곳’으로 만들겠다고 했고, 실제 취임 후 왕세자를 격하하고 살만 국왕을 카운터파트로 대했다.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카슈끄지 살해 사건을 못 본 척하고 왕세자를 실질적 지도자로 인정한 것과는 대조적인 양상이다.

AFP 연합뉴스
자말 카슈끄지
AFP 연합뉴스
AFP 연합뉴스
더욱이 바이든 행정부는 사우디와 관계 재정립을 언급하며 그동안 예멘전에서 아랍연합군을 주도해온 사우디로의 무기 판매 중단 등 공격적 작전 지원 중단을 선언한 상태다. 이런 상황에서 왕세자를 정조준하는 보고서가 나온다면 양국 관계가 경색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이 때문에 바이든이 보고서 공개 전 사우디 국왕과 먼저 통화한 것은 사우디와 불협화음을 최소화하려는 의도라는 해석이 나온다. 두 지도자의 통화에 앞서 양국 외교 장관이 통화하고 협력 방안을 논의한 것도 이런 분위기와 무관치 않아 보인다.
백악관은 두 지도자의 통화에 대해 사우디 영토 방어를 돕겠다는 미국의 약속을 포함해 역내 안보 문제를 논의했다고 밝혔다. 로이터는 “아랍 동맹국인 사우디와 강력한 유대를 유지하고 싶다는 점을 분명히 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김정화 기자 clean@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