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루 확진자 81% ‘람다 변이’…WHO “30개국 확산”

페루 확진자 81% ‘람다 변이’…WHO “30개국 확산”

김유민 기자
김유민 기자
입력 2021-07-21 06:36
수정 2021-07-21 06:3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페루 인구대비 사망자 최다
국내에선 아직 확인 안 돼

페루 남부 아레키아의 한 병원에서 의료진이 6월 18일(현지시간) 코로나19 환자를 살펴보고 있다. 2021.6.20  AFP 연합뉴스
페루 남부 아레키아의 한 병원에서 의료진이 6월 18일(현지시간) 코로나19 환자를 살펴보고 있다. 2021.6.20
AFP 연합뉴스
‘델타 변이’가 전 세계로 확산하고 있는 가운데 ‘람다 변이’가 지난해 12월 남미 페루에서 처음 발견된 뒤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 지난 두 달간 페루 신규 확진자 중 81%가 이 변이에 감염된 것으로 나타났다.

세계보건기구(WHO) 고위 관계자는 19일(현지시간) 코로나19 ‘람다 변이’(C.37)가 30개국 이상에서 확산하고 있다고 밝혔다.

마리아 판케르크호버 WHO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기술팀장은 소셜 미디어 Q&A 행사에서 이 변이가 주로 미주 대륙에서 확인됐으며, 6월 중순 ‘관심 변이’로 분류됐다고 설명했다.

관심 변이는 알파와 델타 변이가 속한 ‘우려 변이’보다 아래 단계에 있는 바이러스다. WHO는 기존 바이러스에 비해 더 위험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하고, 람다 변이의 전파력 등을 더 자세히 알기 위해 회원국들과 협력 중이라고 전했다.

아르헨티나 대통령 백신 접종 후 감염현재 남미 각국과 미국, 캐나다, 유럽 일부 국가 등 약 30개국에서 람다 변이가 확인됐지만 국내에선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지난 4월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은 알베르토 페르난데스 아르헨티나 대통령은 러시아 스푸트니크V 백신을 두 차례 다 맞고도 람다 변이에 감염됐다.

뉴욕타임스는 “람다가 다른 변이보다 더 전파력이 높은지, 감염자의 증상이 더 심하고 백신의 효과를 감소시키는지는 분명치 않다”라며 페루의 인구 대비 사망자는 람다 변이가 확산하기 전인 지난해 8월에도 세계 최다였으며, 역시 람다 변이가 퍼진 칠레의 치명률은 2.14%로 세계 평균(2.16%)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람다를 비롯한 새로운 변이들에 계속 관심을 두고 주의해야 하며, 거리두기 동참과 백신 접종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