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현지시간) 아프가니스탄 카불공항 외곽에서 발생한 폭탄 미국 13명을 포함해 최소 90명이 숨지고 약 150명이 다쳤으며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이슬람국가 호라산(IS-K)의 소행이라며 군사 보복 방침을 밝혔다.
이미지 확대
26일(현지시간) 아프가니스탄 수도 카불 공항 외곽 자살폭탄 테러 현장 인근에서 시민들이 부상자를 돌보고 있다. 지난 15일 탈레반의 아프간 장악 후 서방의 대피작업이 진행 중인 카불 공항에서 이날 두 차례 자살폭탄 테러가 발생해 미군 12명을 포함해 현재까지 확인된 사망자만 해도 90명에 달한다. [영상 캡처] 2021.8.27 사진=AP 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26일(현지시간) 아프가니스탄 수도 카불 공항 외곽 자살폭탄 테러 현장 인근에서 시민들이 부상자를 돌보고 있다. 지난 15일 탈레반의 아프간 장악 후 서방의 대피작업이 진행 중인 카불 공항에서 이날 두 차례 자살폭탄 테러가 발생해 미군 12명을 포함해 현재까지 확인된 사망자만 해도 90명에 달한다. [영상 캡처] 2021.8.27 사진=AP 연합뉴스
이미지 확대
26일(현지시간) 아프가니스탄 수도 카불 공항 외곽 자살폭탄 테러 현장 인근에서 시민들이 부상자를 돌보고 있다. 지난 15일 탈레반의 아프간 장악 후 서방의 대피작업이 진행 중인 카불 공항에서 이날 두 차례 자살폭탄 테러가 발생해 미군 12명을 포함해 현재까지 확인된 사망자만 해도 90명에 달한다. [영상 캡처] 2021.8.27 사진=AP 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26일(현지시간) 아프가니스탄 수도 카불 공항 외곽 자살폭탄 테러 현장 인근에서 시민들이 부상자를 돌보고 있다. 지난 15일 탈레반의 아프간 장악 후 서방의 대피작업이 진행 중인 카불 공항에서 이날 두 차례 자살폭탄 테러가 발생해 미군 12명을 포함해 현재까지 확인된 사망자만 해도 90명에 달한다. [영상 캡처] 2021.8.27 사진=AP 연합뉴스
이미지 확대
26일(현지시간) 아프가니스탄 수도 카불 공항 외곽 자살폭탄 테러 현장 인근에서 시민들이 부상자를 돌보고 있다. 지난 15일 탈레반의 아프간 장악 후 서방의 대피작업이 진행 중인 카불 공항에서 이날 두 차례 자살폭탄 테러가 발생해 미군 12명을 포함해 현재까지 확인된 사망자만 해도 90명에 달한다. [영상 캡처] 2021.8.27 사진=AP 연합뉴스 leekm@yna.co.kr/2021-08-27 08:03:24/ <저작권자 ⓒ 1980-2021 ㈜연합뉴스.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26일(현지시간) 아프가니스탄 수도 카불 공항 외곽 자살폭탄 테러 현장 인근에서 시민들이 부상자를 돌보고 있다. 지난 15일 탈레반의 아프간 장악 후 서방의 대피작업이 진행 중인 카불 공항에서 이날 두 차례 자살폭탄 테러가 발생해 미군 12명을 포함해 현재까지 확인된 사망자만 해도 90명에 달한다. [영상 캡처] 2021.8.27 사진=AP 연합뉴스 leekm@yna.co.kr/2021-08-27 08:03:24/ <저작권자 ⓒ 1980-2021 ㈜연합뉴스.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이미지 확대
26일(현지시간) 아프가니스탄 수도 카불 공항 외곽 자살폭탄 테러 현장 인근에서 시민들이 부상자를 돌보고 있다. 지난 15일 탈레반의 아프간 장악 후 서방의 대피작업이 진행 중인 카불 공항에서 이날 두 차례 자살폭탄 테러가 발생해 미군 12명을 포함해 현재까지 확인된 사망자만 해도 90명에 달한다. [영상 캡처] 2021.8.27 사진=AP 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26일(현지시간) 아프가니스탄 수도 카불 공항 외곽 자살폭탄 테러 현장 인근에서 시민들이 부상자를 돌보고 있다. 지난 15일 탈레반의 아프간 장악 후 서방의 대피작업이 진행 중인 카불 공항에서 이날 두 차례 자살폭탄 테러가 발생해 미군 12명을 포함해 현재까지 확인된 사망자만 해도 90명에 달한다. [영상 캡처] 2021.8.27 사진=AP 연합뉴스
김명국선임기자 daunso@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