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3분기 경제성장률 3.9% 시장전망 상회
9월 소매판매는 2.5% 증가로 전망 못미쳐
美 3분기 2.9% 추산, 기술적 경기침체서
벗어나나 높은 물가 탓 소비증가효과 때문
중국의 지난 3분기 경제성장률이 3.9%로 시장전망을 상회했고, 올해 1·2분기 연속 역성장을 기록했던 미국도 3분기엔 반등이 확실시된다. 하지만 미중 모두 체감경기는 바닥이어서, 미중발 글로벌 경기침체 우려도 커진다.
중국 국가통계국은 3분기 국내총생산(GDP)이 전년 동기 대비 3.9% 증가했다고 24일 발표했다. 블룸버그통신(3.3%)과 로이터통신(3.4%) 등의 시장 전망치를 뛰어 넘었다. 지난 1분기 4.8%였던 경제성장률이 2분기에 베이징·상하이의 코로나19 봉쇄로 0.4%까지 수직 낙하한 것을 감안하면 빠른 회복세다.
하지만 코로나 제로(0) 정책으로 인한 고강도 방역은 소비둔화로 이어졌다. 이날 공개한 9월 소매판매는 전년 동월 대비 2.5% 증가하는데 그쳐 8월(5.4%)의 절반에도 못 미쳤고, 시장 전망치(3.3%)를 하회했다. 9월 도시 실업률은 전월보다 0.2%포인트 상승한 5.5%를 기록했고, 청년(16∼24세) 실업률은 17.9%로 고공행진을 이어갔다.
중국 국가통계국이 본래 경제지표를 공표하려던 지난 18일을 하루 앞두고 돌연 발표를 연기한 것도 중국 경제의 불확실성을 키웠다. 시진핑 국가 주석의 3연임 확정 전에 좋지 않은 경제지표를 발표하지 않으려 했다는 관측이 크다. 또 중국의 1∼3분기 누적 성장률은 3%로 집계돼, 중국 당국이 목표로 삼은 5.5%에 크게 미달할 것으로 보인다.
경제성장률 지표와 체감경기의 격차는 미국도 크게 다르지 않다. 이날 애틀랜타 연방준비은행의 ‘GDP 나우’는 미국의 3분기 경제성장률을 2.9%로 추산했다. 올해 1분기 경제성장률이 -1.6%, 2분기는 -0.6%를 기록하며 빠졌던 ‘기술적 경기침체’(2개 분기 연속 역성장)에서 벗어나는 것이지만 실물경기 우려는 여전히 높다.
CNN은 “GDP는 소비자 지출의 영향이 크다”며 인플레이션에 따른 물품 가격 상승으로 소비가 늘어나는 듯한 효과로 경제성장률이 반등한다고 분석했다. 즉, 물가를 감안한 실질 소비가 증가하거나 실질 임금이 늘진 않는다는 의미다. 9월 음식가격 상승률은 전년동월대비 11.2%, 에너지는 19.8%로 전체 물가상승률(8.2%)을 크게 웃돌면서 서민들의 부담은 가중됐다.
조지프 라보그나 전 백악관 경제고문은 워싱턴포스트에 “GDP 반등에 속지 말라. 경제가 위기에서 벗어난 게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그간 중국의 코로나 봉쇄 정책, 미국의 긴축 장기화 등이 글로벌 경기침체 가능성을 높여온 가운데 중국의 시 주석 3연임 확정에 이어 다음달 미국의 중간선거가 끝난 뒤 양 강대국이 꾀할 변화가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9월 소매판매는 2.5% 증가로 전망 못미쳐
美 3분기 2.9% 추산, 기술적 경기침체서
벗어나나 높은 물가 탓 소비증가효과 때문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23일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열린 신임 정치국 상무위 기자회견에 참석해 상무위원들을 소개한 뒤 손을 흔들고 있다. 2022.10.24 AFP 연합뉴스
중국 국가통계국은 3분기 국내총생산(GDP)이 전년 동기 대비 3.9% 증가했다고 24일 발표했다. 블룸버그통신(3.3%)과 로이터통신(3.4%) 등의 시장 전망치를 뛰어 넘었다. 지난 1분기 4.8%였던 경제성장률이 2분기에 베이징·상하이의 코로나19 봉쇄로 0.4%까지 수직 낙하한 것을 감안하면 빠른 회복세다.
하지만 코로나 제로(0) 정책으로 인한 고강도 방역은 소비둔화로 이어졌다. 이날 공개한 9월 소매판매는 전년 동월 대비 2.5% 증가하는데 그쳐 8월(5.4%)의 절반에도 못 미쳤고, 시장 전망치(3.3%)를 하회했다. 9월 도시 실업률은 전월보다 0.2%포인트 상승한 5.5%를 기록했고, 청년(16∼24세) 실업률은 17.9%로 고공행진을 이어갔다.
중국 국가통계국이 본래 경제지표를 공표하려던 지난 18일을 하루 앞두고 돌연 발표를 연기한 것도 중국 경제의 불확실성을 키웠다. 시진핑 국가 주석의 3연임 확정 전에 좋지 않은 경제지표를 발표하지 않으려 했다는 관측이 크다. 또 중국의 1∼3분기 누적 성장률은 3%로 집계돼, 중국 당국이 목표로 삼은 5.5%에 크게 미달할 것으로 보인다.
경제성장률 지표와 체감경기의 격차는 미국도 크게 다르지 않다. 이날 애틀랜타 연방준비은행의 ‘GDP 나우’는 미국의 3분기 경제성장률을 2.9%로 추산했다. 올해 1분기 경제성장률이 -1.6%, 2분기는 -0.6%를 기록하며 빠졌던 ‘기술적 경기침체’(2개 분기 연속 역성장)에서 벗어나는 것이지만 실물경기 우려는 여전히 높다.
CNN은 “GDP는 소비자 지출의 영향이 크다”며 인플레이션에 따른 물품 가격 상승으로 소비가 늘어나는 듯한 효과로 경제성장률이 반등한다고 분석했다. 즉, 물가를 감안한 실질 소비가 증가하거나 실질 임금이 늘진 않는다는 의미다. 9월 음식가격 상승률은 전년동월대비 11.2%, 에너지는 19.8%로 전체 물가상승률(8.2%)을 크게 웃돌면서 서민들의 부담은 가중됐다.
조지프 라보그나 전 백악관 경제고문은 워싱턴포스트에 “GDP 반등에 속지 말라. 경제가 위기에서 벗어난 게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그간 중국의 코로나 봉쇄 정책, 미국의 긴축 장기화 등이 글로벌 경기침체 가능성을 높여온 가운데 중국의 시 주석 3연임 확정에 이어 다음달 미국의 중간선거가 끝난 뒤 양 강대국이 꾀할 변화가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