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84조 증발” 빅테크 갑부들도 못 피한 경기 하강

“684조 증발” 빅테크 갑부들도 못 피한 경기 하강

이정수 기자
이정수 기자
입력 2022-10-29 18:05
수정 2022-10-29 18:0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아마존 창업자 제프 베이조스(왼쪽), 메타플랫폼 CEO 마크 저커버그(가운데), 테슬라 CEO 일론 머스크. AP·AFP 연합뉴스
아마존 창업자 제프 베이조스(왼쪽), 메타플랫폼 CEO 마크 저커버그(가운데), 테슬라 CEO 일론 머스크. AP·AFP 연합뉴스
마크 저커버그, 일론 머스크 등 ‘빅테크 갑부’들이 최근 경기 하강 국면에서 천문학적 규모의 재산 손실을 입고 있다고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블룸버그통신의 억만장자 지수를 보면 지난 27일 기준 저커버그와 머스크를 비롯해 제프 베이조스, 빌 게이츠 등 빅테크 업계 상위 20명 갑부의 재산이 연초 대비 4800억 달러(약 684조 2000억원) 이상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에 포함된 기업 가치를 전부 합친 것에 맞먹는 규모라고 WSJ는 전했다.

메타플랫폼 최고경영자(CEO)인 저커버그의 보유 재산은 870억 달러(약 124조원) 쪼그라들며 최대 감소 폭을 기록했다.

특히 메타플랫폼의 3분기 순이익이 전년동기 대비 52%나 감소했다는 발표가 나온 전날 주가가 24.6% 폭락하며 저커버그의 지분 가치는 하루 만에 112억 달러(약 16조원) 증발했다.

올초 전체 부호 6위에 올랐던 저커버그는 의욕적으로 추진 중인 ‘메타버스’(3차원 가상세계) 사업이 가시적인 성과를 내지 못하면서 부호 순위 28위까지 밀렸다.

세계 최고 갑부인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와 아마존을 설립한 제프 베이조스 이사회 의장은 각각 580억 달러(약 82조 7000억원) 정도의 손해를 본 것으로 나타났다.

구글의 모기업인 알파벳을 공동 창업한 래리 페이지와 세르게이 브린의 재산도 약 400억 달러(약 57조원)씩 감소했다.

경기 하강에도 재산이 늘어난 빅테크 부호도 있었다. 짧은 영상플랫폼 틱톡을 만든 바이트댄스의 창업자 장이밍과 유비퀴티 CEO인 로버트 페라는 각각 104억 달러(약 14조 8000억원), 13억 달러(약 1조 9000억원)의 재산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이번 '카카오톡 업데이트' 여러분은 만족한가요?
15년 만에 단행된 카카오톡 대규모 개편 이후 사용자들의 불만이 폭증하고 있다. 애플리케이션을 내려받을 수 있는 구글 플레이스토어와 애플 앱스토어에는 “역대 최악의 업데이트”라는 혹평과 함께 별점 1점 리뷰가 줄줄이 올라왔고, 일부 이용자들은 업데이트를 강제로 되돌려야 한다며 항의하기도 했다. 여론이 악화되자 카카오는 개선안 카드를 꺼냈다. 이번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1. 개편 전 버전이 더 낫다.
2. 개편된 버전이 좋다.
3. 적응되면 괜찮을 것 같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