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이 찢어졌다…위성으로 본 튀르키예 대지진 [포착]

땅이 찢어졌다…위성으로 본 튀르키예 대지진 [포착]

권윤희 기자
권윤희 기자
입력 2023-02-12 11:55
수정 2023-02-19 21:1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미국 민간위성업체 맥사 테크놀로지가 촬영한 대지진 전(위)과 후(아래, 9일 촬영) 튀르키예 가지안테프주 누르다이 지역 고가도로. 2023.2.10 로이터 연합뉴스
미국 민간위성업체 맥사 테크놀로지가 촬영한 대지진 전(위)과 후(아래, 9일 촬영) 튀르키예 가지안테프주 누르다이 지역 고가도로. 2023.2.10 로이터 연합뉴스
규모 7.8 대지진으로 튀르키예(터키) 땅이 찢어졌다. 8일(현지시간) 미국 민간위성업체 맥사 테크놀로지가 공개한 위성 자료와 튀르키예 IHA 통신 보도를 종합하면 대지진으로 단층이 이동하면서 튀르키예 가지안테프와 하타이 일대에는 전에 없던 ‘협곡’이 여럿 형성됐다.

35만 제곱미터 규모의 하타이주 올리브밭도 두동강 났다. 깊이 30m, 폭 200m의 거대한 틈이 생기면서 밭은 두 갈래로 쪼개졌다.
6일(현지시간) 규모 7.8 강진 이후 튀르키예 하타이주의 35만 제곱미터 규모의 올리브 나무 밭이 두동강 났다. 깊이 30m, 폭 200m의 거대한 틈이 생기면서 밭은 두 갈래로 쪼개졌다. 2023.2.9 IHA
6일(현지시간) 규모 7.8 강진 이후 튀르키예 하타이주의 35만 제곱미터 규모의 올리브 나무 밭이 두동강 났다. 깊이 30m, 폭 200m의 거대한 틈이 생기면서 밭은 두 갈래로 쪼개졌다. 2023.2.9 IHA
튀르키예는 아나톨리아 지각판에 있는데, 북쪽으로는 유라시아판, 남쪽으로는 아프리카판, 동쪽으로는 아라비아판과 경계가 맞닿아 있다. 튀르키예가 속한 아나톨리아판은 상대적으로 작아 다른 지각판이 가하는 힘을 많이 받는다.

그동안 튀르키예 동부 지역은 튀르키예 북부보다 상대적으로 지진이 덜 발생하는 곳이었다. 지질학계에서는 아나톨리아판과 유라시아판이 만나는 튀르키예 북부 단층에 지진이 잦아 고위험 지역으로 꼽았는데, 이번에는 예상과 달리 동부 단층에서 대규모 지진이 일어났다.

특히 강진이 발생한 가지안테프 지역은 아나톨리아판과 아라비아판의 경계 지역이다. 미국 지질조사국(USGS)은 이번 지진으로 피해 지역 단층이 약 3.2m 이동한 걸로 분석했다.
미국 위성업체 맥사 테크놀로지의 대지진 전후 위성 자료를 보면 가지안테프주 누르다이 지역은 그야말로 땅이 찢어졌다. 2023.2.8 맥사 테크놀로지
미국 위성업체 맥사 테크놀로지의 대지진 전후 위성 자료를 보면 가지안테프주 누르다이 지역은 그야말로 땅이 찢어졌다. 2023.2.8 맥사 테크놀로지
미국 지질조사국(USGS)은 6일(현지시간) 튀르키예에서 발생한 강진으로  단층이 약 3.2m 이동한 걸로 분석했다. 2023.2.9 맥사테크놀로지
미국 지질조사국(USGS)은 6일(현지시간) 튀르키예에서 발생한 강진으로 단층이 약 3.2m 이동한 걸로 분석했다. 2023.2.9 맥사테크놀로지
지진으로 인한 단층 이동은 피해 지역을 촬영한 위성 자료에서 더 극명하게 드러난다. 미국 위성업체 맥사 테크놀로지의 대지진 전후 위성 자료를 보면 가지안테프주 누르다이 지역은 그야말로 땅이 찢어졌다.

이와 관련해 미국 항공우주국(NASA) 지구물리학자 에릭 필딩은 “이번 지진은 크고 강력했다. 1906년 샌프란시스코 대지진과 비슷하다”며 “일련의 단층 구간부터 지표면까지 파괴됐다”고 설명했다.
이미지 확대
미국 민간위성업체 맥사 테크놀로지가 촬영한 대지진 전(위)과 후(아래, 8일 촬영) 튀르키예 카흐라만마라슈 시내. 2023.2.9 AP 연합뉴스
미국 민간위성업체 맥사 테크놀로지가 촬영한 대지진 전(위)과 후(아래, 8일 촬영) 튀르키예 카흐라만마라슈 시내. 2023.2.9 AP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