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달 착륙 프로젝트 실패했는데…中 2030년 달에 연구기지 세운다

日 달 착륙 프로젝트 실패했는데…中 2030년 달에 연구기지 세운다

김진아 기자
김진아 기자
입력 2023-04-26 15:41
수정 2023-04-26 15:4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민간 달 착륙선 통신 두절에 고개 숙인 日 아이스페이스 직원들
민간 달 착륙선 통신 두절에 고개 숙인 日 아이스페이스 직원들 26일 일본 도쿄에서 벤처기업 ‘아이스페이스’(ispace) 직원들이 달 착륙을 시도하던 무인 달 착륙선의 통신이 두절돼 성공 여부를 확인할 수 없다고 발표한 뒤 고개 숙이고 있다.
도쿄 로이터 연합뉴스
일본 벤처 기업의 무인 달 착륙 프로젝트 ‘하쿠토-R’이 26일 실패로 끝났다.

26일 교도통신 등에 따르면 일본 ‘아이스페이스’가 개발한 무인 달 착륙선이 이날 새벽 착륙을 시도했으나 달 표면에 도달하기 직전 통신이 두절됐다. 하카마다 다케시 아이스페이스 최고경영자(CEO)는 “달 착륙선의 연료가 떨어져 기체가 달 표면에 충돌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달 착륙선의 크기는 높이 2.3m, 폭 2.6m, 무게 340㎏으로 발사 후 약 4개월 만에 달 고도 약 100㎞ 궤도에 진입해 이날 오전 착륙을 시도할 수 있게 됐다. 착륙 시도 후 약 30분 동안 달 착륙선의 상태가 확인되지 않았다.

이번 프로젝트가 주목받은 데는 민간 기업에 의한 세계 최초의 달 착륙 시도였기 때문이다. 또 성공했다면 일본은 러시아, 미국, 중국에 이어 네 번째로 달 착륙에 성공한 나라가 될 수 있었다. 아이스페이스는 내년과 2025년 한 차례씩 다시 달 착륙선을 발사할 계획이다.

2010년 설립된 아이스페이스는 25개국 이상에서 약 200명이 참가한 팀을 구성해 달 착륙선을 개발했다. 아이스페이스의 달 착륙선은 지난해 12월 11일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커내버럴 우주군 기지에서 일론 머스크의 우주·항공기업 스페이스 X 로켓에 실려 발사됐다.

한편 세계 최초로 달 전면과 뒷면 착륙에 성공한 중국은 2030년쯤 달에 기본적 형태를 갖춘 연구기지를 만들겠다는 계획을 발표하며 달 탐사에 더욱 속도를 내고 있다.

중국과기보 등에 따르면 중국 달 탐사사업 총설계사인 우웨이런 중국공정원 원사는 25일 안후이성 허페이에서 열린 심우주탐사 콘퍼런스에서 중국이 건설을 추진 중인 ‘국제 달 과학연구기지’(ILRS)가 2030년쯤 기본 형태를 갖출 것이라고 밝혔다.

우 원사는 ILRS는 달 환경 탐사·측량과 자원 이용에 대한 실험을 진행하며 2050년쯤 과학적 응용이 가능한 완성된 형태의 연구기지가 될 것이라는 로드맵을 제시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