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전기차 업체 비야디(BYD)의 ‘친플러스’(왼쪽)와 미국 전기차 업체 테슬라의 ‘모델X’. BYD·테슬라 제공
미국 테슬라와 함께 세계 전기차 시장에서 선두 싸움 중인 중국 비야디(BYD)가 올해 전 세계 판매량 400만대를 넘겨 미국 포드와 일본 혼다를 추월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9일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BYD는 지난달 50만 6804대를 팔아 올해 1~11월까지 총 376만대를 판매했다. 3분기 매출에서도 테슬라를 제쳤다. BYD가 분기 전기차 판매량에서 테슬라를 앞선 적은 있지만 분기 매출 추월은 처음이다. 다만 테슬라와 달리 BYD는 매출 대부분은 중국 내수 시장에서 나온다.
현 추세가 이어지면 BYD는 향후 12개월 동안 600만대 이상 판매해 제너럴모터스(GM), 스텔란티스 등과 어깨를 나란히 할 것으로 로이터는 예상했다.
씨티그룹 애널리스트들은 최근 BYD 경영진과 회동한 뒤 BYD가 내년에 600만대 안팎 인도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고 전했다.
지난해 말 70만 3500명이던 BYD 직원 수는 올해 9월 기준 100만명에 육박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 같은 공세적 규모 확장에 힘입어 경쟁사들을 따돌리고 치열한 가격 경쟁에서 승리할 수 있었다는 평가가 나온다. 최근에는 BYD가 공급업체 수십 곳에 납품 단가를 인하해달라고 요구했다는 언론 보도도 나왔다.
중국승용차시장정보연석회(CPCA) 자료에 따르면 BYD의 중국 자동차 시장 점유율은 지난해 10월 12.5%에서 올해 10월에는 16.2%로 올랐다. 반면 독일 폭스바겐이 상하이자동차(SAIC)·중국 FAW 그룹과 각각 손잡고 만든 2개 합작사의 1~10월 시장점유율은 지난해 14.2%에서 올해 12.5%로 떨어졌다.
GM은 중국 시장에서 경쟁력을 잃고 중국 사업 부문 구조조정과 관련 자산 상각 처리로 50억 달러(약 7조원) 이상 회계 비용이 발생할 것으로 보인다고 지난 4일 공시했다. 현대차·기아 등 한국 브랜드도 중국 시장에서 판매 부진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