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군 지휘부 “군내 성폭력은 암적 존재”

미군 지휘부 “군내 성폭력은 암적 존재”

입력 2013-06-05 00:00
수정 2013-06-05 03:0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상원 군사위 청문회…레빈 위원장 “軍 문화 바꿔야”

마틴 뎀프시 합참의장을 비롯한 미군 최고 지휘부는 4일(현지시간)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군(軍) 성폭력을 ‘암적 존재’로 규정하고 해결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약속했다.

레이 오디어노 육군참모총장은 이날 상원 군사위원회 청문회에 증인으로 출석, “군대 내에서 성폭력과 성희롱은 암과 같다”면서 “치료하지 않은 채 내버려두면 군을 붕괴시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

오디어노 총장은 그러면서 “폭력을 차단하고 잘못이 있는 이를 기소해 책임을 지게 하기 위해서는 광범위한 접근 방식을 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칼 레빈(민주ㆍ미시간) 위원장은 “성폭력 문제는 우리 군에 엄청난 오점을 남긴다”면서 “의회는 지난 수년간 성폭력 문제 해결을 위해 적극적으로 나섰지만 아직 할 일이 남아있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추가적인 보호 장치도 중요하지만 군 전반에 걸쳐 문화를 바꾸지 않고는 문제는 해결될 수 없다”면서 “이는 지휘 단계의 정점에서 시작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군 지휘부는 그러나 군내 성폭력 사건은 내부에서 주도적으로 처리해야 한다는 주장을 재확인했다.

크리스틴 길리브랜드(민주ㆍ뉴욕) 상원의원 등이 최근 성폭력을 비롯한 중범죄 군인의 재판 회부를 결정하는 과정에서 군 지휘부를 배제하는 법안을 추진하는 데 대해 반대 입장을 분명히 밝힌 것이다.

뎀프시 의장은 “지휘관의 책임을 줄이는 것은 궁극적으로 임무 완성을 위한 지휘관의 역할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면서 “군에서는 지시와 기강이 효율성을 높이는 데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이날 청문회에는 뎀프시 의장을 비롯해 오디어노 총장, 조너선 그리너트 미국 해군참모총장, 제임스 에이머스 해병대사령관, 마크 웰시 공군참모총장 등 군 최고지휘부가 총출동해 사태의 심각성을 반영했다.

연합뉴스

문성호 서울시의원 “연희동 견고한 폭우 방어 태세, 연희1구역재개발조합이 주민 안전 보장 확실한 기여”

문성호 서울시의원(국민의힘, 서대문2)이 2년 전 폭우로 축대가 붕괴하는 사고가 발생했던 연희동 주민들이 이번 폭우로 지반 붕괴 등을 우려하는 민원을 전함에 있어, 직접 순찰한 결과 현재 문제는 전혀 발생하지 않았으며 특히 경사가 가파른 지역인 홍제천로2길 일대의 안전을 위해 연희동 연희1구역재개발조합에서 방벽 공사 및 기반 시설 보강으로 견고한 대비가 구축되었음을 전했다. 문 의원은 “2년 전 여름, 폭우가 쏟아지는 중에 연희동에서는 축대가 무너지는 심각한 사고가 발생한 바 있다. 다행히 매몰되거나 사고를 입은 주민은 없었으나, 인근 주민들이 대피하는 등 삶에 충격을 가했다. 그러한 사고가 있었기 때문인지 폭우경보가 있는 날이면 연희동 해당 일대 주민들의 우려가 늘 들려온다”고 설명했다. 이어서 문 의원은 “특히 연희동 홍제천로2길 일대는 경사가 가파른 탓에 폭우가 쏟아지는 날에는 물줄기 역시 빠르고 강한 힘으로 쏟아져 내려오기에 매우 위험함은 모두가 익히 아는 사실이다. 하지만 본 의원이 직접 야간에 현장을 순찰한 결과, 다행히도 미리 구축된 방벽과 벙커형 주차장의 견고하고 또 체계화된 물 빠짐 구간 구축으로 아무런 피해가 발생하지 않았다”며 설명을
thumbnail - 문성호 서울시의원 “연희동 견고한 폭우 방어 태세, 연희1구역재개발조합이 주민 안전 보장 확실한 기여”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