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마트 “50만 근로자 혜택 볼 것” 노동 착취 기업 오명 벗기 안간힘
미국 연방정부가 기업의 최저임금 인상을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노동 착취’ 기업으로 악명 높은 월마트가 근로자의 최저임금을 전격적으로 인상했다. 미국 내 기업들의 최저임금 인상 신호탄이 될 것인지 주목된다.근로자 140만명을 거느린 미 최대 소매기업인 월마트는 오는 4월부터 미국 내 정규직과 비정규직 매장 근로자들의 임금을 시간당 9달러(약 9950원)로 올린다고 지난 19일 발표했다. 미 연방정부의 현재 법정 최저임금(7.25달러)보다 1.75달러 많으나 버락 오마바 정부가 추진 중인 최저임금 목표치 10.10달러에는 못 미치는 수준이다.
이번 조치로 월마트 근로자의 평균 임금은 정규직의 경우 시간당 12.85달러에서 13달러로, 시간제 비정규직은 9.48달러에서 10달러로 각각 오르게 된다. 월마트는 내년부터는 최저임금을 10달러로 올리겠다고 밝혔다.
월마트는 성명을 내고 “이번 조치로 근로자 50만명 정도가 혜택을 보게 될 것”이라며 이를 위해 올해 10억 달러 이상을 지출한다고 밝혔다.
월마트 매장 직원 출신인 더그 맥밀런 최고경영자(CEO)는 이번 결정에 대해 “회사가 힘든 시기를 겪으면서 확실하게 깨달은 점은 직원들에게 더 많이 투자하는 것이 최우선이라는 것”이라며 “이 같은 변화는 직원들에겐 더 많은 기회를, 고객들에겐 더 좋은 서비스를, 그리고 주주들에게는 혜택을 제공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월마트의 이번 조치는 노동계로부터 받아온 ‘대표적 노동 착취 기업’이라는 오명에서 벗어나려는 시도와 함께, 실업률이 5.7%까지 떨어진 상황에서 직원 이탈을 막기 위한 고육지책으로 풀이된다.
오바마 정부가 기업들의 최저임금 인상을 압박하자 월마트 노조는 지난해 워싱턴DC 등 미 전역에서 시위를 벌였고 이 과정에서 심각한 노사 갈등이 빚어졌다. 이런 가운데 실업률 하락은 직원들이 더 높은 임금과 더 나은 복지, 직업 훈련 기회를 찾아 떠나는 상황으로 이어졌다.
월마트의 최저임금 인상은 실업률 하락에 따른 경쟁력 유지가 관건이 된 소매업계와 패스트푸드업계 등의 최저임금 인상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게 시장 전문가들의 전망이다.
월스트리트저널은 “다른 소매업체와 맥도날드 등 패스트푸드업계의 임금 인상도 시간문제”라고 전했다. 월마트와 경쟁하는 코스트코는 이미 최저임금보다 훨씬 많은 임금을 주는 등 직원 복지 강화에 나섰으며, 가구 체인 이케아도 최근 최저임금을 올렸다. 커피전문점 스타벅스와 의류업체 갭도 신입사원 초임 및 최저임금을 인상했다.
한편 오바마 정부는 임기 2기 역점 사업으로 법정 최저임금을 10.10달러로 올리는 이른바 ‘텐텐 법안’을 통과시키기 위해 의회를 압박하고 있다. 그러나 기업 수익 하락을 우려하는 공화당의 반대로 계류되자 지난해 연방정부와 계약을 맺은 근로자들에 대한 최저임금 인상을 의무화하는 내용의 행정명령을 발동했다.
워싱턴 김미경 특파원 chaplin7@seoul.co.kr
2015-02-23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