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의회 청문회 질의응답…”완화 기조가 환율 조작 아니다”시장 “모호한 금리 인상 발언으로 더 헷갈린다”
재닛 옐런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 의장은 24일(현지시간) 무역 협정에 환율 규제 조항을 넣는 것이 통화 정책을 저해할 수 있다고 말했다.옐런 의장은 이날 미 상원 은행위원회 상반기 통화정책 청문회 질의응답에서 “중앙은행의 완화 기조가 환율 조작으로 치부돼서는 안 된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그는 “우리처럼 물가 안정과 고용 극대화를 위해 쓰이는 통화 정책은 국내용으로 매우 효과적인 수단”이라고 말했다.
옐런 의장은 “이런 정책이 환율에 영향을 줄 수 있다”면서 그러나 “이것 때문에 환율 조작이라고 치부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정말로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도 “환율 조작이 특정국의 무역 경쟁력을 높이는 데 활용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시정돼야 한다”고 경고했다.
로이터는 미 재무부 관리들도 환율 문제를 무역 협정에 포함하는 것이 주요 20국(G20) 협력을 저해하는 등 역효과를 낼 것이라며 반대해 왔음을 상기시켰다.
반면, 몇몇 의원은 옐런 의장의 견해에 동조하지 않았다.
민주당의 셔로드 브라운 상원의원은 교역 상대국 통화 약세로 미국 수출과 고용이 피해보기 때문에 무역 협정에서 환율 조작을 규제해야 한다고 반박했다.
이와 관련, 민주당의 샌더 레빈 하원의원은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에 환율 조항을 포함하는 법안을 제출했음을 로이터는 상기시켰다.
한편, 전문가들은 옐런 의장의 청문회 금리 발언이 모호해 시장을 더욱 헷갈리게 한다고 말했다.
제프리 앤드 코의 토머스 사이먼 자금시장 전략가는 로이터에 “옐런이 금리 조정의 유연성과 인내심을 부각시킴으로써, 매파도 비둘기파도 아닌 모호한 태도를 보였다”고 지적했다.
이 때문에 “시장이 발언 진의 파악에 애를 먹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옐런 의장의 발언을 전후해 달러 가치와 10년 만기 미 국채 수익률이 오르내린 것도 이런 맥락이라고 분석했다.
웰스 파고의 뉴욕 소재 에릭 빌로리아 전략가도 블룸버그에 “옐런 발언이 균형잡힌 것이라고 판단한다”면서 ‘금리 인상 시점을 구체적으로 시사하지 않은 점’을 지적했다.
AP는 시장이 애초 금리 인상 시점을 오는 6월로 보다가 연내 동결까지 갈지 모른다는 쪽으로 바뀌는 민감한 시점에 옐런이 이런 모호한 태도를 보였음을 전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