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과 달리 ‘모성애 리더십’ 강조… “손녀 태어난 뒤 워킹맘 이해” 언급해 박수
2008년 민주당 경선에서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이 고배를 마신 가장 큰 이유는 무엇일까. 미국 최초의 여성 대통령이란 역사 창조에만 몰두해 진짜 ‘여성’으로서 유권자에게 다가가는 데 실패했고, 국가 최고 통수권자에 어울리는 강인함을 내세우느라 자신의 성(性) 정체성을 과도하게 경시한 측면이 패착으로 꼽힌다.
AFP 연합뉴스
힐러리 클린턴
AFP 연합뉴스
AFP 연합뉴스
여성 후보자로 실용적인 접근을 하자는 전략 수정은 시대의 변화와 요구 때문이다. 우선 4년간의 국무장관직 수행을 통해 그녀의 강인함, 진지함은 충분히 확인됐다는 평가다. 힐러리와 그 측근들은 한층 험난해진 세상살이에 국민을 보듬을 수 있는 부드러운 모성애 리더십이 요구되고 있다는 사실을 절감했다. 주요 기업의 여성 수장 및 여성 의원 증가와 여성 차별에 대한 미디어의 혹독한 질타 등 문화, 정치적 지형도가 여성 후보자에게 유리하게 변한 것도 한 요인이다. 2008년 선거를 도왔던 테리 매콜리프 버지니아 주지사는 힐러리가 여자라는 점은 이제 “엄청난 자산이 됐다”고 말했다.
이를 의식한 듯 최근 강연에서 힐러리는 여성 문제를 중산층이 겪는 사회문제와 경제 곤란 등 보편적인 이슈로 엮어 유권자들의 마음을 사로잡고 있다. 특히 손녀 샬럿 클린턴 메즈빈스키가 태어난 후 ‘할머니 힐러리’의 매력은 배가되고 있다. 최근 실리콘밸리의 여성 IT 전문가를 상대로 한 강연에서 힐러리는 “손녀 출생이 나라의 미래는 물론 변호사로 일하는 딸 첼시와 같은 워킹맘의 고충을 이해하는 데 더 큰 영감을 줬다”며 “가족을 우선시하는 근로 환경을 만드는 것은 단지 근사한 일을 하는 것을 넘어 윈윈하는 것”이라고 말해 박수갈채를 받기도 했다.
박상숙 기자 alex@seoul.co.kr
2015-02-26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