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공화, 키스톤XL 법안 오바마 거부권 무효화 실패

미 공화, 키스톤XL 법안 오바마 거부권 무효화 실패

입력 2015-03-05 07:49
수정 2015-03-05 07:4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상원서 3분의 2 찬성 못얻어…공화 “다른 법안에 붙여 재추진”

미국 상원은 4일(현지시간) 키스톤XL 송유관 건설 법안에 대한 버락 오바마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를 무효로 만드는 데 실패했다.

공화당이 다수 의석인 상원은 이날 전체회의에서 오바마 대통령의 처분을 무력화하는 방안을 표결에 부쳤으나 찬성 62표, 반대 37표로 통과에 필요한 의석(66표)을 확보하지 못해 부결 처리했다.

미국 의회가 통과시킨 법안 등에 대해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했을 때 이를 무력화하고 법안을 발효시키려면 상·하원에서 총 의석수의 3분의 2 이상 찬성을 얻어야 한다.

오바마 대통령의 거부권을 무력화하려는 시도가 상원 문턱을 넘지 못함에 따라 하원에서는 표결조차 무의미해진 셈이다.

일부 공화당 의원은 키스톤XL 법안을 다른 법안에 붙여 통과시키는 방식으로 다시 추진하겠다고 밝혔으나 예상대로 될지는 미지수다.

이 법안을 발의했던 존 호벤(노스다코타) 상원의원은 “오늘 전투에서는 이기지 못했지만, 결국 전쟁에서는 승리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앞서 오바마 대통령은 지난달 24일 키스톤XL 법안이 상·하원을 각각 통과해 넘어오자 공언해온 대로 거부권을 행사했다.

그의 거부권 행사는 취임 이후 세 번째이자 2010년 이후 처음이다.

키스톤XL 법안은 원유 생산지인 캐나다 앨버타 주와 정유 시설이 있는 미국 텍사스 주의 멕시코만을 잇는 하루 83만 배럴 규모의 원유 수송 송유관을 건설하는 프로젝트가 주요 골자다.

일자리 창출이나 에너지 자립도 제고에 도움이 된다는 공화당의 주장과 미국 경제에 별 도움이 되지 않을뿐더러 환경오염 등을 유발한다는 민주당 일각의 입장이 팽팽하게 맞서 6년 이상 표류하고 있다.

오바마 대통령은 그동안 현재 진행 중인 국무부의 검토 과정이 끝난 이후 사업 추진 여부를 결정하겠다는 입장을 밝혀왔다.

박춘선 서울시의회 환경수자원위원회 부위원장, 자원순환 시민행사 ‘초록이의 지구여행’ 참석

서울시의회 환경수자원위원회 박춘선 부위원장(강동3, 국민의힘)이 지난 20일 청계광장에서 열린 2025 자원순환 시민행사 ‘초록이의 지구여행’에 참석해 시민들과 직접 만나 자원순환의 중요성과 실천의 가치를 나눴다. 이 행사는 박 부위원장이 시민 참여형 자원순환 문화 확산의 필요성을 지속적으로 제기해온 데 따라 마련된 대표 시민환경 프로그램이다. 행사가 펼쳐진 청계광장은 ▲자원순환 캠페인존 ▲에코 체험존 ▲에너지 놀이터존 ▲초록 무대존 등 네 개의 테마 구역에서 환경 인형극, 업사이클 공연, 에너지 체험놀이터, 폐장난감 교환소 등 다채로운 체험·놀이·공연 프로그램이 운영됐다. 시민들은 자원순환의 과정을 직접 보고, 듣고, 만들어보는 활동을 통해 새활용과 분리배출의 의미를 쉽고 재미있게 익혔으며, 자원순환이 일상의 작은 실천으로 자연스럽게 이어질 수 있음을 몸소 확인하는 시간을 가졌다. 박 부위원장은 축사를 통해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도시의 변화는 시민 한 사람의 작은 실천에서 시작된다”며 생활속 실천활동의 중요성을 되짚었다. 또한 “줍깅 활동, 생태교란종 제거, 한강공원 가꾸기, 새활용 프로그램 등 시민과 함께 한 모든 실천의 순간들이 큰 변화를 만들어왔
thumbnail - 박춘선 서울시의회 환경수자원위원회 부위원장, 자원순환 시민행사 ‘초록이의 지구여행’ 참석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