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담당자의 급 낮추는 등 무관심… 다른 채널 대화 시도 가능성 희박
북핵 문제가 공전하면서 북한과 미국 간 대화창구인 ‘뉴욕채널’이 개점휴업 상태인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은 특히 최근 뉴욕채널 담당자의 급을 낮추는 등 무관심한 모습을 보여 북·미 관계 돌파구를 찾기 어려워 보인다.워싱턴 외교소식통은 1일(현지시간) “최근 몇 개월째 북·미 간 뉴욕채널이 돌아가지 않는 것으로 안다”며 “북측이 대화 의지가 없을 뿐 아니라, 미국 측도 별다른 대화 시도를 하지 않고 있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다른 소식통은 “북한이 최근 남북 고위급 접촉 이후 남한과는 대화 의사를 보이면서도 미국에는 아직 별다른 반응을 하지 않고 있다”며 “뉴욕채널 외에 다른 방법을 통한 대화 시도 가능성도 희박해 보인다”고 말했다.
북·미 간 뉴욕채널은 최근까지 미측 6자회담 차석대표인 시드니 사일러 국무부 6자회담 특사와 장일훈 유엔 주재 북한대표부 차석대표가 맡아 왔다. 그러나 사일러 특사가 지난달 28일 국무부를 떠나 원부서인 국가정보국(DNI)으로 복귀하면서 후임이 정해지지 않자 뉴욕채널도 마크 램버트 신임 국무부 한국과장이 대신 맡게 됐다. 미측 뉴욕채널 담당자가 고위급 특사에서 과장으로 급이 내려간 것이다. 한 소식통은 “미 국무부가 6자회담 차석대표인 특사나 뉴욕채널 담당자를 그리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음을 보여주는 것”이라며 “사일러 특사 전에도 공석인 적이 있었으나 이번에는 후임 인사가 더 기약이 없어 보인다”라고 지적했다.
그러나 국무부 대변인실은 이날 이메일을 통해 “사일러 특사가 파견된 지 상당히 오래돼 일상적인 순환인사 차원에서 원부서로 복귀한 것”이라며 “그가 떠났다고 해서 대북 정책의 변화가 있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고 밝혔다. 하지만 사일러 특사와 더불어 3년간 ‘최장수’ 한국과장을 역임한 로버트 랩슨 전 과장도 한국 관련 업무 경험이 전혀 없는 램버트 과장에게 자리를 물려주고 조만간 일본 미 대사관 공사참사관으로 자리를 옮기게 돼, 국무부 한반도 라인의 빈자리가 너무 커졌다는 평가가 나온다.
워싱턴 김미경 특파원 chaplin7@seoul.co.kr
2015-09-03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